■ 인터뷰 - 정현식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회장
제7·8대 협회장 연임…맘스터치 일군 전문가
“차액가맹금서 로열티 전환 필요하나 시기상조”
“협회차원서 해외개척 지원…소비활성화 정책 촉구”

▲정현식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장. 사진=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올해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는 코로나19 확산기에 버금가는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장기화된 경기침체에 대내외 경제 여건도 급속히 악화중인 데다가, 끝을 모르는 비용 상승에 가격 인상마저 여의치 않아 수익 구조가 나빠지는 점이 큰 문제입니다."
정현식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장은 최근 에너지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배달중개 수수료·차액가맹금 소송 등 '잿빛 복합위기'에 직면한 시장 상황을 근거로 올해 어두운 산업 전망을 제시했다.
“배달 앱 합의안, 정가 올려놓고 할인하는 속임수"
1960년생인 정 협회장은 버거 프랜차이즈 '맘스터치(전 해마로푸드서비스)' 창업주로 업계 사정에 정통한 전문가로 꼽힌다. 앞서 제7대 협회장을 역임하고 2022년 연임에 성공해 현재 140만 프랜차이즈 산업인들의 길라잡이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조만간 시행을 앞둔 배달 앱 수수료 인하안을 놓고 정 협회장은 “배달앱 최종 합의안은 정가를 크게 올려놓고 할인한다는 속임수와 같다. 상생안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지난해 7월 배달의민족·쿠팡이츠 등 배달플랫폼과 입점업체들은 상생협의체 출범 후 14차례의 회의를 거쳐 합의안을 도출했다.
오랜 진통 끝에 내놓은 상생안은 최대 수수료율을 9.8%에서 2.0~7.8%로 차등화하는 것이 골자다. 다만, 배달의민족만 봐도 협의체 출범 직전 수수료율을 6.8%에서 9.8%로 올려놓고 정작 7.8%로 내리는 것이 사실상 의미가 없다는 정 협회장의 주장이다.
매출 상위 35% 업체에 7.8% 수수료율을 차등 적용하는 등 매출별 구간 설정 방식도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제기했다. “배달앱 수수료로 어려움을 겪는 곳은 배달에 목숨을 걸 만큼 많이 하는 곳들"이라며 “정말 (수수료율 인하가) 필요한 곳에는 7.8%라는 높은 수수료율을 매기면서, 배달 비중이 적은 중하위 업체에 혜택을 주는 척 선심을 쓰고 있다"고 정 협회장은 꼬집었다.
업계 전반으로 논란이 불거진 차액가맹금 관행 문제를 사례로 정 협회장은 구조적 개선 필요성도 언급하는 한편, 시기상조라는 조심스런 입장도 전했다. 가맹점주가 브랜드 로열티를 본사에 지급하는 해외와 달리, 국내 사업 모델은 원부자재 공급 시 얻는 유통 마진 등을 일컫는 차액가맹금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정 협회장은 “중장기적으로 정률 로열티 제로로 변경해 (가맹본부와 점주 간) 상생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면서 “다만, 인프라 부족·수취 비율에 대한 낮은 신뢰도·매출 누락 가능성 등 로열티 제도가 보편화되기에 국내 현실과 맞지 않는 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률 로열티 방식은 본사 입장에서 가맹점 수익보다 매출이 더 중요해 매입단가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원가절감 노력도 기울이지 않는다"라며 “비용 인상과 물가인상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정 협회장은 덧붙였다.
“해외박람회 참가 등 협회차원 지원 총력…정부, 내수진작 정책 펼쳐주길"
원가 상승·소비 침체 등 각종 악재가 잔존하는 상황에서 정 협회장은 가맹점 수익 확보를 위한 판촉·마케팅 지원 등 가맹본부의 자구적 노력도 피력했다. 또한, 판로 확대 등 산업 발전을 위한 협회 차원의 중점 사업 계획도 공개했다.
정 협회장은 “지난해부터 해외 진출하기 좋은 기회들이 주어진 상태로, 박람회 참가 등 국내 브랜드들의 글로벌 시장 개척을 지원할 것"이라며 “정부에 관련 예산 수립도 적극 건의하며, 현재 협회가 정회원으로 있는 세계프랜차이즈협의회(WFC) 등과 교류해 가교 역할을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엎친 데 덮친격으로 지난해 말부터 탄핵 정국으로 접어들며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도 소비 위축 등 된서리를 맞은 만큼 정 협회장은 국정 안정을 위한 정부 노력도 촉구했다.
정 협회장은 “매출이 살아나지 못하니 악화된 수익구조를 견디기 힘들고, 결국 가격 인상을 선택해 소비가 줄어드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며 “정부가 빨리 중심을 잡고 내수 진작을 위한 다양한 소비활성화 정책을 펼쳐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