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원대 5G 요금제 속속 출시…통신시장 판도 바뀌나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3.03 10:27

가성비로 시장 진입…가입자 유치 경쟁 본격화 예고
알뜰폰 5G 점유율 1%…합리적 소비 지향 고객 공략
비용부담도 커질 전망…통신 3사 결합할인 등도 변수

ㅎㅎ

▲큰사람커넥트의 알뜰폰 브랜드 이야기모바일을 시작으로 1만원대 20GB 5G 요금제를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 사진은 이야기모바일의 20GB 5G 요금제 출시 관련 이미지.

알뜰폰 업계가 월 1만원대에 데이터 20기가바이트(GB)를 제공하는 5세대 이동통신(5G) 요금제를 속속 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장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전략이지만, 제도적 변수도 많아 '메기'로 성장하긴 어려울 것이란 시각도 적잖다.




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큰사람커넥트의 알뜰폰 브랜드 이야기모바일을 시작으로 1만원대 20GB 5G 요금제를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이야기모바일의 요금제는 데이터 10GB, 15GB, 20GB 등으로 구성됐으며 이 중 20GB 상품가는 월 1만8700원이다. 음성통화와 문자는 각각 200분, 100건이며 기본 제공량 소진 시 초과 요금이 붙는다.



이어 스마텔이 '5G 스마일플러스 20GB' 요금제를 선보였다. 1만9800원에 20GB 데이터를 제공하며, 모두 소진할 시 초과 요금이 부과된다. 이야기모바일과의 차이점은 음성통화와 문자서비스를 무제한 지원한다는 것이다.


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데이터 도매대가를 인하해 자체 요금제 설계·출시 기반이 만들어진 데 따른 것이다. 도매대가는 알뜰폰 사업자들이 통신 3사의 망(네트워크)을 빌릴 때 지불하는 비용이다.




대다수 사업자들이 이달 초쯤 고시 개정 후 요금제를 본격 출시하며 5G 가입자 확대에 나설 전망이다. 지난해 말 알뜰폰 전체 가입자수가 감소세로 접어듦에 따라 반등 요소가 절실한 상황 속 5G 트래픽(데이터 사용량)은 지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매력적인 시장으로 꼽힌다.


상품 선택폭을 넓혀 합리적 소비를 지향하는 고객층을 유치한다는 전략인데, 가입자수를 얼마나 끌어모을지가 관건이다. 통신 서비스 이용자의 한 달 평균 데이터 사용량 기준으로 산정한 값인 만큼 시장 수요가 많을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향후 수익성 확보가 사업 확장 가능성을 판가름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기정통부의 '유·무선통신서비스 가입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알뜰폰 5G 가입자수는 36만5582명으로 전체(3563만4775명)의 1%에 불과하다. 이 기간 5G 스마트폰의 전체 트래픽 양은 97만999테라바이트(TB)로, 전달(94만6956TB)보다 2.53% 증가했다.


알뜰폰 업계 관계자는 “요금제 출시 예고 후 20~30대 고객들을 중심으로 관련 문의가 늘고 있다"며 “5G 사업 기반을 구축한 후, 규모를 점진적으로 키우는 방향으로 가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선 아직은 낙관하기 이르다는 반응이다. 올해부터 전파사용료 납부 및 정보보고 관리체계(ISMS) 인증 의무화로 비용 부담도 커져서다. 지난해 전파사용료 감면 추정액은 196억5400만원인데, 올해는 20%에 달하는 약 40억원을 65개 업체가 부담해야 한다. 내년엔 부담액이 100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소 업체의 경우 적자전환할 수 있다는 우려다.


통신 3사로부터 5G 가입자를 뺏어오는 게 쉽지 않을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통신 3사가 제공하는 가족결합 및 구독 결합, 멤버십 할인 혜택 등을 이유로 기존 요금제를 유지하는 고객들도 적지 않기 때문. 데이터 품질 차이가 뚜렷한 것도 아닌데, 가성비만 보고 알뜰폰으로 옮길 이유가 없다는 의미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선택약정 할인에 가족결합 혜택까지 받고 있다면 알뜰폰으로 갈아타기 어려울 수 있다"며 “도매대가 협상 사후규제나 전파사용료 등 변수가 많다 보니 5G 시장 진입이 가능할지 아직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태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