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 전망 순익 12%↓…충당금 부담
JB금융 순익 1833억, 4%↑ 추정
PF 부실 털어낸 iM금융 1분기부터 회복
“비이자이익 중심으로 개선”

▲BNK금융지주, JB금융지주, iM금융지주.
올해 1분기 지방금융지주사의 성적이 엇갈린 것으로 추정됐다. JB금융지주는 실적 상승을 지속하는 가운데 BNK금융지주는 충당금 등의 여파에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다. 시중 금융지주로 전환한 iM금융지주(옛 DGB금융지주)는 순이익이 반등하면서 지난해 부진에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관측된다.
7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BNK·JB금융의 1분기 순이익은 4066억원으로 추정됐다. 전년 동기(4306억원) 대비 5.6% 하락한 규모다.
금융지주사별로 보면 BNK금융의 1분기 순이익은 2233억원으로 전년 동기(2546억원) 대비 12.3%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JB금융의 순이익은 183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760억원)보다 4.2%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BNK금융의 경우 대손충당금이 확대되며 실적 하락으로 이어졌을 것으로 관측된다. 경상적 대손비용은 1700억원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지역 기업인 삼정기업(200억원), 금양(250억원)과 관련해 추가 충당금 적립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삼정기업은 건설 경기 침체에 더해 지난 2월 발생한 반얀트리 리조트 화재 충격으로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이차전지 기업인 금양 또한 최근 감사보고서에서 감사의견 거절을 받아 상장폐기 위기에 놓였다. 이에 따라 두 기업에 대출을 내준 BNK금융의 익스포저가 부각이 된 상황이다. 단 충당금 외 그룹 이익은 비이자이익을 중심으로 개선세를 보일 것이란 관측이다.
JB금융의 경우 충당금 부담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 비이자이익 개선으로 실적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비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특히 JB캐피탈의 실적 개선이 두드러질 것으로 관측된다.
iM금융은 올해 1분기부터 순이익이 반등할 것이란 전망이다. iM금융은 지난해 증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여파에 충당금을 대거 쌓으며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 지난해 말 기준 iM금융의 순이익은 2208억원으로, 전년 대비 4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분기 iM금융의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6% 줄어든 1130억원이다. 올해 1분기 순이익은 145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은경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iM금융은 그동안 실적의 발목을 잡았던 PF 부실 처리를 마무리해 높은 신뢰를 보유하고 있다"며 “지난 3년간 증권 PF 누적 충당금 적립액은 약 5500억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 iM금융의 지배순이익은 전년 대비 107.1% 늘어난 4451억원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김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iM금융은 1분기 이자이익 감소에도 증권자회사 수수료 이익이 개선되고 시장금리 하락 상황에서 채권 규모 확대에 따른 비이자이익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