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 먼데이’ 충격 벗었다…코스피, 트럼프 관세 유예에 6% 급등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4.10 15:47

코스피·코스닥 급반등, 대형주 일제히 상승

'금융위기' 수준 치솟은 환율도 진정세 '뚜렷'

10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뉴스가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0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뉴스가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블랙 먼데이'로 급락했던 코스피가 10일 급반등했다. 금융위기 당시 수준까지 치솟았던 원·달러 환율도 진정세를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를 유예하기로 하면서 투자심리가 빠르게 회복한 영향이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03% 오른 2431.90에 거래를 마쳤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시가 총액 기준 코스피 상위 10위권 기업들 모두 빨간불이었다.


같은날 코스닥지수도 5.82% 오른 680.83을 가리켰다. 코스닥 역시 시가총액 10위권 안에 드는 기업 중 HLB를 제외한 나머지 9개 기업 모두 전날보다 5~11%씩 오른 채로 장을 마쳤다.



이날 장초반 코스피200선물 지수가 6% 가까이 치솟으면서 유가증권시장 프로그램 매수호가 일시 효력정지(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다. 발동 시점 코스피200선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5.76% 급등한 322.20을 기록했다.


코스피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된 것은 글로벌 증시가 급락했다(블랙먼데이)가 반등한 작년 8월 6일 이후 8개월여 만이다. 앞서 지난 7일에는 급락으로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된 바 있다.




급락장을 연출했던 국내 증시가 이날 급격하게 반등한 것은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소식이 발표되자 간밤 뉴욕증시 3대 지수가 기록적인 수준으로 급반등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962.86포인트(7.87%) 오른 40,608.45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74.13포인트(9.52%) 급등한 5,456.9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857.06포인트(12.16%) 급등한 17,124.97에 각각 마감했다.


앞서 이번주 장 시작 날이었던 지난 7일 국내 증시는 급락장을 연출한 바 있다. 코스피는 지난 7일 전 거래일 대비 5.57% 하락하며 2400선이 붕괴됐고, 코스닥도 5.25% 급락했다. 미국의 상호관세와 이를 맞서는 중국의 강경 대치로 뉴욕증시가 크게 흔들린 여파였다.


실제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인 지난 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공포는 미국 증시를 그대로 덮쳤다. 이날 S&P 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5.97%, 5.82% 급락했고, 다우 지수도 5.5% 내렸다. 특히 테슬라(-10.42%) 엔비디아(-7.36%) 애플(-7.29%) 브로드컴(-5.01%) 등 주요 기술주 하락 폭이 컸다.


그간 무섭게 치솟던 원·달러 환율도 진정세를 보였다. 이날 환율은 1457.60원에 마감했다. 전일 최고 수준인 1487.6원 대비 30원 하락한 수준이다. 앞서 지난 8일 환율은 전날 오후 종가(1473.2원) 대비 10.9원 오른 1484.1원에 마감했다. 이는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12일(1496.5원)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트럼프의 상호관세 90일 유예에 따른 미 증시 급등과 원·달러 환율 급락 등의 영향으로 반도체를 비롯한 관세 피해 업종을 중심으로 급등 출발했다"면서 “최근 상호관세 발 이슈로 인한 급락으로 코스피는 12개월 후행 PBR(주가순자산비율)은 0.79배까지 하락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국내 증시로의 밸류에이션 측면에서의 진입 여지는 충분하다"고 말했다.



장하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