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업 주문 중개이용료 6.8% 전체 입점업체에 과금 시작
배민 “유료화로 재투자 가능”에 점주 “요율 과도” 반박
“네이버로 갈아탔다” 댓글 등장…쿠팡이츠 “무료 연장”

▲배달앱 입점점주 및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온라인플랫폼법 제정촉구 공동행동 관계자들이 지난 2월 서울 송파구 우아한형제들 본사 앞에서 배달의민족 수수료 정책에 항의 농성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배달의민족이 5년간 무료 정책을 유지하던 포장 주문 중개수수료를 전면 유료화했다.
다만 입점업체들의 반발이 거세고 경쟁업체인 쿠팡이츠는 1년간 무료 정책을 연장하기로 해 향후 포장 주문 서비스 유료화의 정착 여부가 주목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은 14일부터 픽업(포장) 주문 중개이용료(중개수수료) 6.8%를 모든 입점업체에 과금하기 시작했다.
우아한형제들은 지난 2020년 포장 주문 서비스 도입 이후 중개이용료 유료화를 계속 유예해 왔다.
그러나 포장 주문은 라이더 배달비가 없어 입점업체 수익성을 높이는 서비스라 판단, 현재 10% 미만 수준인 포장 주문 비중을 대폭 높이기 위해 유료화를 단행하고 매년 300억원 투자 등 서비스 활성화에 나서기로 했다.
우아한형제들 관계자는 “픽업 주문 활성화를 통해 점주 수익성이 개선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픽업 중개이용료를 기반으로 소비자 대상 마케팅·프로모션에 재투자해 점주 이익률 제고와 골목상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배민의 설득은 입점업체들에겐 먹히지 않는 모양새다. 소비침체와 과잉경쟁으로 외식업 평균 영업이익률이 10% 미만인 상황에서 상생요금제로 배달 중개수수료를 최대 7.8% 부담하는데 더해 포장 중개수수료까지 부담하라는 것은 지나치다는 것이다.
배민은 애플리케이션(앱) 인터페이스 개편을 통해 기존 '포장' 탭을 '픽업' 탭으로 변경해 눈에 더 잘 띄는 곳에 배치했으며, 연간 300억원씩 투자해 앱 기능 고도화, 고객 할인혜택 제공, 업주 지원 등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이정문 의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배민 거래액 약 15조원 중 포장주문 거래액은 약 1조5000억원으로 추정된다. 포장 중개이용료 6.8%를 적용하면 우아한형제들은 연간 1020억원의 중개료를 가져가고 연간 300억원을 투자해도 매년 720억원이 순수익으로 남는다는 설명이다.
배민은 애플리케이션(앱) 인터페이스 개편을 통해 기존 '포장' 탭을 '픽업' 탭으로 변경해 눈에 더 잘 띄는 곳에 배치했으며, 연간 300억원씩 투자해 앱 기능 고도화, 고객 할인혜택 제공, 업주 지원 등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이정문 의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배민 거래액 약 15조원 중 포장주문 거래액은 약 1조5000억원으로 추정된다. 포장 중개이용료 6.8%를 적용하면 우아한형제들은 연간 1020억원의 중개료를 가져가고 연간 300억원을 투자해도 매년 720억원이 순수익으로 남는다는 설명이다.
배달의민족 최대 경쟁업체인 쿠팡이츠가 지난달 내년 3월까지 포장 주문 서비스 중개수수료 무료 정책을 연장하겠다고 발표한 것도 배민에겐 신경쓰이는 대목이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관계자는 “상생요금제를 막 내놓은 상황에서 포장 수수료까지 부과하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이라며 “경쟁사인 쿠팡이츠는 포장 수수료 무료 정책을 재차 연장한 시점에서 배달의민족은 지금 꼭 유료화해야 하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배달앱 점유율 3위 요기요는 지난 2015년 서비스 개시부터 유료 정책을 운영, 현재 2.7~7.7%의 포장 주문 중개수수료를 받고 있다.
일부 업주들은 배민 포장 주문 유료화에 반발해 포장 서비스를 해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다른 플랫폼들이 반사 이익을 얻는 모습도 포착되고 있다.
국내 최대 소상공인·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배민 포장 서비스를 해지했다는 인증 글이 줄을 잇고 있다.
한 글쓴이는 “배민이 포장 수수료 받는다는 말이 나왔을 때부터 네이버주문 서비스도 함께 이용해 왔다"며 “배민 포장 주문을 해지했더니 네이버주문으로 많이 들어오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글쓴이는 “네이버는 수수료가 거의 없는데 언젠가는 배민처럼 과한 수수료를 부과할까봐 조금 걱정은 된다"고 덧붙였다.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페이로 주문·결제할 경우 점주가 부담하는 수수료율은 0.80~2.90% 수준이다. 배민·요기요 수수료율과 차이가 크다.
또 다른 글쓴이 역시 “배민 포장 해지하니 쿠팡, 네이버, 땡겨요 포장으로 다 알아서 주문이 들어온다"고 했다.
김준형 공정한플랫폼을 위한 사장협회 공동의장은 “자영업자 마진율이 10%가 안 되는 상황에서 포장 수수료를 10% 가까이 더 받겠다는 것은 그냥 적자를 보라는 말"이라며 “배민의 이번 정책은 업주의 자율권 하나를 또 가져간 처사로, 국회 앞에서 진행하는 공동행동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