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당근과 채찍’ 관세 정책에도…美 리쇼어링 요지부동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4.15 11:43
US-POLITICS-TRUMP-COLLEGE-FOOTBALL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F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조업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을 위해 관세 전선을 확대함과 동시에 당근책도 제시하고 있지만 정작 미국 기업들은 해외 생산시설의 미국 이전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과 회담하는 자리에서 “자동차 회사 도와주기 위해 무언가를 검토하고 있다"며 “그들은 캐나다, 멕시코와 다른 지역에서 생산되던 부품을 이곳에서 만들기 위해 (생산시설을) 전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들은 (부품 등을) 여기에서 만들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며 생산시설의 미국 이전을 위해 자동차 부품에 대한 일시적 면제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제조업의 부활을 위해선 관세가 필수라고 강조해왔으며 그 일환으로 수입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를 지난 3일부터 부과하고 있다. 다만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핵심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다음 달 3일 이전에 부과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미국 자동차 업체들이 부품 면제를 위해 백악관에 로비를 펼친 것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소식통은 이른바 미국 '빅3' 자동차 업체가(제너럴모터스(GM)·포드·스텔란티스) 특정 부품을 면제받기 위해 로비전을 펼쳤고 완성차와 엔진, 변속기 등 대형 부품에 대한 관세를 지불할 의향이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스마트폰 관세와 관련해 “마음을 바꾸지는 않았지만, 나는 매우 유연한 사람"이라며 “어쩌면 뭔가 나올 수도 있다"고 했다.


전날 “누구도 봐주지 않겠다"며 강조했던 무관용 원칙을 하루만에 뒤집은 것이다.


이런 와중에 미국 상무부는 반도체와 반도체 제조장비, 또 의약품과 그 원료의 수입이 미국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가 시작됐다고 이날 공지했다. 이 조사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무역확장법 232조를 활용해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 25% '품목별 관세'를 부과했다. 이런 전례를 고려하면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해서도 품목별 관세 등의 수입 제한 조치를 부과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 대해 “머지 않은 미래에 조치가 이뤄질 것"이라며 “관세가 더 많을 수록 회사들은 더 빨리 (미국으로) 이전한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대로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할지는 미지수다. 존 크롤리 미국 바이오협회 회장은 이날 성명을 내고 “바이오테크 공급망의 핵심 부분을 미국과 동맹국에 리쇼어링하고 미국 내 제조 기반을 강화하는 것은 국가 및 경제안보 차원에서 최우선 과제가 되어야 한다"면서도 “이러한 전환에는 수년이 걸리며, 관세의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서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다수의 미국 기업들은 리쇼어링을 주저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이날 공개됐다. 미 CNBC가 최근 주요 공급망 기업 38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1%는 미국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보다 관세가 낮은 다른 국가로 이전하는 것이 더 비용 효율적일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 57%는 리쇼어링을 안하는 이유로 비용을 꼽았고 21%는 숙련된 노동력을 구하기 어렵다는 점을 들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리쇼어링 기업에 대해 세금 감면을 약속했지만 감세가 제조시설 이전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비중은 14%에 불과했다.


심지어 기업 81%은 리쇼어링에 나설 경우 근로자보다는 자동화 공정을 택할 것이라고 답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