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사진=AFP/연합)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이 한국과 무역 협상은 다음 주에 진행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베선트 장관은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지난주에는 베트남, 수요일(16일)에는 일본, 다음 주에는 한국과의 협상이 있다"면서 “(협상은)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본이 협상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질문받고서는 “난 우리 동맹국들에 이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특히 먼저 움직이면 이점이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보통 가장 먼저 협상을 타결하는 사람이 최고의 조건을 갖게 된다"고 덧붙였다.
베선트 장관은 또 어느 국가가 미국과 가장 먼저 협상을 타결할 것으로 예상하냐는 질문에는 “그들의 선택"이라고 답했다.
일본은 오는 16일 미국과 협상을 앞두고 있지만,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날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빠르게 협상을 매듭지으면 좋다는 방식의 생각은 아니다"라고 말해 성급하게 합의하지 않겠다는 인식을 내비쳤다.
베선트 장관은 상호관세 90일 유예가 끝나기 전에 어느 국가가 협상을 타결할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많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실제 무역 (협정) 문서가 아닐 수 있지만 우리는 원칙적인 합의를 갖고 거기서부터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어 협상 타결이 예상되는 국가들의 수를 묻는 질문에 “상황에 따라 달렸지만 협상은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우리는 가장 중요한 교역 파트너국 다수와 매우 신속하게 움직이고 있다"면서 “궁극적으로는, 특히 가장 중요한 교역 파트너국과의 협상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통적인 무역협정을 체결하기에 상당한 시간이 예상되는 만큼 우선 무역수지 개선, 무역장벽 완화 등의 약속을 받는 간소화된 형태의 합의에 나서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베선트 장관은 아울러 상호관세율이 0%로 낮춰질 수 있냐는 질문에 “난 나라들에 '당신의 최선의 제안을 가져오라'라고 말한다. 뭘 들고 왔는지 보고 거기서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어느 나라든 상호관세율 0%이 될 수 있냐는 질문에 “두고 봐야할 일"이라며 “관세, 비관세 무역장벽, 환율조작, 보조금 등 우리가 짚어야 할 내용들이 많기 때문에 협상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모른다"고 했다.
이에 앞서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베선트 장관이 한국, 영국, 호주, 인도, 일본과의 협상을 우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베선트 장관은 우군들에게 자신의 최우선 목표(top targets)에 이들 5개국이 포함됐으며 자신이 각 국가의 당국자들을 접촉해왔다고 말했다.
WSJ은 베선트 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무역 자문이 되고 미국의 무역 협상을 이끌게 된 이후 상호관세를 부과받은 국가들과 대화하기 위해 신속하게 움직였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