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기회의 땅’ 인도 선점하고도 ‘노조리스크’에 속앓이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4.16 15:07

가전·스마트폰 등 생산 핵심 기지···노조와 갈등 장기화

임금인상·해고자 복직 요구···시위대·경찰 충돌 등 악재

‘관세전쟁 대응’ 현대차·LG전자 등 인도 진출 활발하지만

삼성전자는 셈법 복잡…현지 상급 노동단체 ‘삼성 저격’

삼성전자 인도법인 노조원들이 지난 2월 인도 첸나이 근교 칸치푸람 지역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사진=더 힌두.

▲삼성전자 인도법인 노조원들이 지난 2월 인도 첸나이 근교 칸치푸람 지역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사진=더 힌두.

글로벌 기업들이 '관세전쟁' 대응 차원에서 인도에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생산 기반을 구축해 두고도 애를 태우고 있다. 노동조합과 갈등의 골이 깊어진 탓에 파업·시위가 지속되며 발목을 잡히는 모습이다. 현지 상급 노동단체까지 '삼성 저격'에 나서면서 경영 관련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16일 더 타임즈 오브 인디아, 타임즈 나우, 더 힌두 등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인도 첸나이에 있는 삼성전자 인도법인 노조는 최근 주요 소비재 공장에서 파업을 예고했다. 정확한 일정을 공유하지 않은 상태라 한동안 생산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이들은 2월5일부터 한달여간 공장 부지 등에서 농성을 벌였다. 지난달 7일 시위를 철회했지만 이번에는 보다 강력한 파업 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삼성전자는 인도 타밀나주 스리페룸부두르·첸나이 등에서 생산 시설을 운영 중이다. 스마트폰은 물론 TV, 냉장고, 냉장고 컴프레서, 세탁기 등 다양한 제품을 만든다.



삼성전자 인도법인 노조가 단체행동에 나선 것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작년 9~10월에는 스리페룸부두르 공장 삼성인도노동조합(SIWU) 구성원들이 한달여간 파업을 벌였다. 당시 전체 직원 1800여명 중 1000명 이상이 쟁의 행위에 가담했을 정도다.


노사 갈등 주요 원인은 임금 인상과 직원 정직 조치 취소다. 작년부터 대부분 사업장에서 비슷한 이유로 잡음이 일고 있다. 최근까지도 조합원들이 직원 23명의 정직 취소 및 복직 허용 등을 외치며 시위에 나서고 있다고 전해진다. 삼성전자가 주정부에 개입을 요청했는데 시위대와 경찰이 충돌해 다수가 구금되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했다. 노사가 꼬인 매듭을 1년 가까이 풀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더 큰 문제는 인도 내 상급 노동 단체인 인도노동조합센터(CITU)가 삼성전자를 타깃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CITU는 삼성전자 인도법인 노조원들의 파업 등에 계속 관여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파업과 동시에 칸티푸람 지역 '삼성 쇼룸' 앞에서 시위를 기획하기도 했다. 삼성전자 제품 불매운동 분위기를 조성한 셈이다. 현지 매체들은 인도 노동자들의 요구 수준이 높아지며 다국적 기업들을 대상으로 시위가 늘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처음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고 조명했다.


인구 대국 인도는 내수 시장 뿐 아니라 수출기지로 장점도 다수 갖춘 국가로 꼽힌다. 인건비가 워낙 저렴한데다 중앙정부 및 각 주정부 차원에서 글로벌 기업 유치를 위한 혜택도 제공하고 있어서다. 특히 '세계의 공장' 중국이 관세전쟁 타깃이 되면서 생산기지로 장점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관세 문제를 각국과 조율할 수 있다고 밝히며 한국, 일본, 호주, 영국, 인도 5개국과 협상을 우선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고 보도했다.


전세계 주요 기업들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애플이 '탈중국' 정책 일환으로 인도 내 아이폰 생산량을 대폭 늘리기로 결정한 게 대표적이다.


한국 기업 입장에서도 인도는 '기회의 땅'이다. 현대자동차·기아는 현지 공장 확장과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현대차 인도법인은 작년 10월 증권시장 상장을 통해 자금을 끌어 모았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등 최고경영진은 연이어 인도를 방문해 타운홀미팅 등을 열고 있다.


LG전자는 이르면 다음달 인도 남부 안드라프라데시주 스리시티에 3번째 공장 기공식을 열 예정이다. 가전제품 등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이 곳에 500억루피(약 8325억원)를 썼다. LG전자는 추가 투자 검토를 위해 인도법인 상장도 추진 중이다.


포스코 역시 중국 비중을 줄이고 인도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지난해 말 인도 1위 철강사인 JSW그룹과 '철강·이차전지소재·재생에너지 분야 사업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여헌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