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에너지부 “한국은 미국의 중국 공급망 독립에서 중요 역할”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4.18 11:27

주한미국상공회의소, ‘에너지혁신포럼 한미 파트너십 기회’ 개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아시아 에너지보안 강화 훌륭한 대안”
퍼시피코에너지, 해상풍력 공급망 개발에도 韓·美 협력 강조

주한미국상공회의소가 18일 서울 용산 그랜드하얏트호텔서 개최한 '에너지 혁신 포럼 한미 파트너십의 기회' 세미나가 열리고 있다. 사진= 이원희

▲주한미국상공회의소가 18일 서울 용산 그랜드하얏트호텔서 개최한 '에너지 혁신 포럼 한미 파트너십의 기회' 세미나가 열리고 있다. 사진= 이원희 기자

미국 정부가 중국으로부터 공급망 독립을 하는데 우리나라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는 우리나라의 에너지 안보를 위해서라도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등에 더욱 투자를 해줄 것을 촉구했다.




반대로 미국 해상풍력 기업인 퍼시피코에너지는 중국으로부터 독립된 해상풍력 공급망 형성을 위해 우리나라에 투자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토미 조이스 미국 에너지부 국제협력실 차관보대행은 주한미국상공회의소가 18일 서울 용산 그랜드하얏트호텔서 개최한 '에너지 혁신 포럼 한미 파트너십의 기회' 세미나에서 이같이 영상을 통한 기조연설로 이같이 밝혔다.



조이스 차관보대행은 “한국은 미국이 중국으로부터 독립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비전을 지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미국 행정부는 알래스카에서 연간 2000만톤 가스를 수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는 아시아의 에너지보안을 강화하는데 훌륭한 대안"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국 기업들은 미국에 반도체, 배터리 기술 제조 등에 1400억달러 규모의 신규 투자를 발표했다"며 “현대자동차는 향후 4년간 공급망, 인프라 및 자동차 생산을 강화하기 위해 1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발표하면서 미국과의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했다"며 양국간 협력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알래스카 LNG 개발사업을 주요 정책 과제로 제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4일 의회 연설에서 “한국·일본 등이 알래스카 LNG 개발사업에 참여해 수조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알래스카 LNG 개발사업은 미국과 우리나라의 관세 협상에서도 주요 카드로 등장했다. 다음 주부터 양국의 본격적인 관세 협상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알래스카 LNG 개발사업 참여 여부에 따라 미국이 우리나라에 부과하는 관세를 대폭 낮출 수도 있는 것이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우리나라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사업에 투자하고 있는 미국 기업인 퍼시피코에너지의 발표가 이어졌다. 각국이 서로가 필요로 하는 사업에 투자를 유치하면서 에너지 안보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오고 갔다.


미국은 우리나라로부터 LNG 개발 사업의 투자를, 우리나라는 미국으로부터 해상풍력사업의 투자를 받는 것이다.


퍼시피코에너지코리아는 전남 진도군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최대 규모 수준인 3.2기가와트(GW)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개발 중이다. 이는 설비용량으로는 원전 3기에 달하는 규모다.


최승호 퍼시피코에너지코리아 대표는 “지금 태양광은 중국이 완전히 잡고 있다. 해상풍력도 중국이 독점하게 되면 모든 공급망이 죽을 수 있다"며 “한국과 미국이 해상풍력 발전공급망 개발을 이뤄나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원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