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선 기후위기 해결 위한 재생에너지 대선 되도록 할 것”

▲서왕진 조국혁신당 최고위원.
서왕진 조국혁신당 최고위원(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더불어민주당에 원자력 발전이 아니라 재생에너지에 집중해줄 것을 요구했다.
서 최고위원은 21일 최고위원회 모두 발언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앞장서야 할 일은 국민의힘과의 원전진흥 경쟁이 아니다"라며 “윤석열 정부 내내 정책적 퇴행으로 고사 상태에 빠진 재생에너지 산업 생태계를 복원하고, 전체 전력 구성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에너지 정책의 대전환을 이끄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가올 대선이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재생에너지 대선'이 되도록 개혁적인 야당 및 시민사회와 적극 협력하겠다. 민주당의 책임 있는 동참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서 최고위원은 원전이 글로벌 RE100(사용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 추세에 맞지 않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원전은 인공지능(AI)나 반도체 산업이 요구하는 신속한 전력 공급 차원에서도 효과적이지 않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같은 대규모 첨단 산업단지에 대규모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라면서 “대형 원전은 착공부터 운영까지 15년 이상이 걸린다. 반면, 태양광의 경우 12~18개월이면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라고 부연했다.
이어 “원전은 세계적 추세인 RE100 흐름에도 맞지 않는다"라면서 “애플, 구글 등 글로벌 IT 기업은 재생에너지 100% 전환을 달성했거나 전략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전력반도체 및 AI 기반 에너지 최적화 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서 최고위원은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최근 보고서를 인용하며 “AI와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증가에 따라 원전을 최우선으로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라고 했다. 그는 “2024~2035년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신규 발전설비 총 320기가와트(GW) 가운데 재생에너지가 206GW, 배터리저장장치가 46GW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가스는 36GW, 원전은 고작 19GW에 불과하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