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중국 887GW 설치, 720GW 설치 계획
‘죽음의 바다’ 내몽골 사막에 100GW 설치 추진
패널이 바람 속도 늦추고 수분증말 막아 녹화 기여

▲중국 내몽골 쿠부치 사막은 한때 '죽음의 바다'라는 오명을 안았다. 하지만 이 곳에는 '태양광 만리장성' 프로젝트 아래 총 100GW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이 들어서고 있다. 사진은 태양광 시설이 들어서기 전 2017년 모습. 사진=나사 옵저배이토리

▲중국 내몽골 쿠부치 사막은 한때 '죽음의 바다'라는 오명을 안았다. 하지만 이 곳에는 '태양광 만리장성' 프로젝트 아래 총 100GW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이 들어서고 있다. 사진은 말 모양의 태양광 시설이 들어선 2024년 모습. 사진=나사 옵저배이토리
중국이 태양광 굴기가 속도를 더 내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까지 총 880기가와트(GW) 규모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했다. 이는 원전 887기 규모이다. 특히 황량한 사막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시설을 구축해 전력 생산 및 사막의 녹화에도 효과를 보이고 있다.
24일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태양광 발전 용량은 887GW를 기록했다. 지난해 중국이 새로 설치한 용량만 277GW에 이른다. 현재 한국의 용량은 27GW이다.
중국의 태양광 용량은 계속 늘고 있다.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Global Energy Monitor)에 따르면 현재 중국이 계획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 용량은 720GW이다. 이 가운데 약 250GW는 건설 중이고, 약 300GW는 착공 전 단계이며, 177GW는 발표된 프로젝트이다.
현재 개발 중인 최대 규모의 프로젝트 중 일부는 중국 북부 내몽골 지역에 있다. 내몽골의 쿠부치 사막에서는 태양광 만리장성(Great Solar Wall)이라 불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태양광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2030년 완공 예정인 만리장성 계획은 내몽골과 인근 지역에 걸쳐 길이 250마일(약 400km), 너비 3마일(약 4.8km)이 넘는 지역에 약 100GW의 설비 용량을 설치한다. 현재까지 약 5.4GW 용량이 설치됐다.
모래가 많고 생명체가 거의 없는 쿠부치 사막은 한때 '죽음의 바다'라는 오명을 안고 있었다. 하지만 이곳은 화창한 날씨, 평평한 지형, 그리고 산업 중심지와의 근접성으로 태양광 발전에 이상적인 입지를 제공한다.
쿠부치 사막에 태양광 패널 설치가 급증하면서 사막도 새롭게 변모하고 있다. 베이징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양의 전력이 생산될 예정이며, 패널이 모래언덕의 이동을 막고 바람 속도를 늦춰 사막화를 억제하며 수분증발을 막아 녹화에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