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추가 유예 없어…우리가 설정하는 관세가 협상의 끝"
對中 관세 철회 대가로 중국 시장 개방 요구
뉴욕증시 나흘째 상승…트럼프 "이제 과도기 이해하기 시작"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교역국을 대상으로 하는 상호관세를 또다시 유예할 가능성이 낮다고 말하면서 각국이 협상에 나설 것을 강조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25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전용기에서 상호관세 90일 추가 유예를 묻는 질문에 “가능성이 낮다(unlikely)"며 “우리는 협상할 것이지만, 합의도 할 것이다. 우리가 설정하는 관세는 매우 합리적일 것이고, 그게 협상의 끝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금융시장이 그의 관세 정책에 적응하기 시작했다며 주식 및 채권 시장에 나오는 변동성을 일축했다. 그는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보면, 과도기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며 “사람들은 그동안 이해를 못했는데 이제 이해하기 시작했다"고 했다.
이날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4거래일째 동반 상승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05% 오른 4만113.50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74% 뛴 5525.21, 나스닥종합지수는 1.26% 상승한 1만7382.94에 장을 마쳤다. 그럼에도 S&P500 지수는 상호관세 발표 전 수준 대비 2.5% 가량 하락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중국이 “중국이 실질적인 것을 주지 않으면 관세를 철회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실질적 양보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개방하라(free up China), 중국에 우리가 들어가 일하게 해달라는 것"이라며 “솔직히 그게 우리가 원했던 것이다. 거의 얻어낼 뻔했는데 그들이 물러났다"고 설명했다.
이는 집권 1기 때인 2018년 중국과 관세 전쟁을 시작했고 2020년 초 시진핑 국가주석과의 담판으로 1단계 무역 합의라는 합의를 했으나 이후 합의가 흐지부지된 것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의 개방은) 정말 좋겠다. 큰 성과가 될 것"이라며 “하지만 그들은 개방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내가 그걸 요구할지는 잘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이날 공개된 타임지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곧 중국과 만날 것이고 모두와 잘 지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먼저 전화를 걸지 않으면 시 주석과 전화하지 않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시 주석이 전화를 걸었다"며 “이는 그가 약점을 드러내는 신호가 아니다"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현재 진행 중인 관세 협상에 대해 “앞으로 3∼4주에 걸쳐 우리는 끝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 협상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준비한 협상의 틀(프레임워크)을 사용할 계획이다. 프레임워크는 관세와 쿼터(할당), 비관세 장벽, 디지털 무역, 원산지 규정, 경제안보와 기타 상업적 쟁점 등 협상의 큰 범주를 정리한 것이다.
USTR은 국가마다 이런 협상 항목별로 미국의 요구 사항을 제시할 방침이며 트럼프 행정부는 이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향후 2개월간 18개 주요 교역국과 협상에 나설 계획이다.
다만 미국이 새 프레임워크를 어떤 나라와의 협상에 적용하고, 어떤 나라와는 다른 트랙으로 협상하려고 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WSJ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