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 이슈로 대전 본사 둔 계룡건설 주가 덩달아 ‘요동’
개인 투자자 위주로 거래량 ‘주도’ … 몸값 상승에 오너 경영진은 ‘표정관리’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건설 본사 사옥 전경. 계룡건설
최근 6.3 조기 대선 와중에 이슈가 된 대통령실 세종시 이전과 관련해 대전에 본사를 둔 계룡건설 주가가 급등락하고 있다. 계룡건설 측은 공식적으로는 “일희일비 하지 않는다"며 의미를 두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건설 본업 이슈나 경영 호재와 상관 없는 정치적 이슈에 따른 주가 변동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회사 내부 분위기는 모처럼의 주가 반등에 표정 관리에 힘쓰는 모양새다.
24일 증권가 등에 따르면 지난 2년 여간 1만2000~1만4000원대에 머물던 계룡건설 주가는 최근 한달여 새 2만원대로 급등했다.
이날도 오후 2시 30분 기준 전날 종가 대비 350원 하락(-1.44%)한 2만3900원을 기록 중이다. 특히 지난 22일엔 주가가 너무 올라 거래 정지되는 헤프닝이 벌어졌다. 당시 한국거래소는 계룡건설의 주식 거래 정지 사유에 대해 “투자경고종목 지정 이후에도 주가가 2일간 40% 이상 급등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2년 여간 1만2000원~1만4000원대 '박스권'에 갇혀있던 계룡건설 주가는 조기 대선 정국을 맞아 대통령실 세종시 이전 이슈가 수면 위로 떠오르며 요동치기 시작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인용 결정이 내려진 이달 4일 1만4000원에 거래를 마친 주가는 바로 다음 거래일인 7일 1만5800원으로 급증하더니 8일엔 2만500원으로 약 2년만에 앞자리 숫자가 바뀌는 기염을 토했다.
이어 지난 11일 종가를 2만2350원에 마친 계룡건설은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됐다. 하지만 이후에도 주가는 쉽게 안정되지 않았고, 18일 상한가(+30%를)친 후 바로 다음 거래일인 21일에도 3만1300원까지 올라 상한가를 쳤다. 지난 23일엔 22.52% 하락한 2만4250원에 장을 마치면서 주가가 빠지는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계룡건설 주식이 요동치는 배경엔 '대통령실 세종시 이전 특수'에 따른 실적 향상·주가 상승을 기대한 개인투자자의 치고 빠지기 투자가 몰렸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3월말~4월초까지도 거래량이 3000주에서 1만5000주 사이(전체 893만주)이던 계룡건설 주식은 급락세를 보인 23일 거래량 369만주를 기록하면서 투자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었다. 이날 시장의 양대 '큰 손'인 기관은 전날 1만3744주를 팔아치웠고 외국인은 4384주를 사들였다.
거래 정지 바로 전 연이틀 상한가를 칠 때도 거래의 대부분을 '개미'들이 주도하면서 주가를 끌어올렸고 23일에도 개미들이 손을 털면서 주가가 빠진 것이다.
계룡건설은 겉으로는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회사 내부적으로는 고양된 분위기가 확실히 감지된다.
계룡건설 관계자는 “주가 반등 재료가 회사 본업과 상관없는 이슈"라며 “주가 상황에 일희일비 하지 않고 건축과 토목 및 분양 사업 등에 더욱 정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회사 내부 분위기는 좋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계룡건설 다른 한 관계자는 “시공능력평가는 17위로 1군 건설사에 속하지만 주식시장에서 주목도가 덜하고 몸이 무거운 '건설주'라는 저평가를 받아왔다"며 “이번에 주식 시장에서 주목을 받으면서 주주들 입장에선 이득을 보게됐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이승찬 회장을 위시한 오너 경영진이 이번 이슈로 회사 시가총액이 늘어나면서 반색하고 있으며, 회사 주식을 보유한 일부 직원들도 '표정 관리'에 힘쓰고 있다는 전언이다.
김기룡 미래에셋증권 수석 애널리스트는 “개인 투자자가 거래를 주도한 상황에서 작전 세력이 주가를 부양하고 끌어내렸는지 판단하기 어렵다"며 “충청도 기반 건설사로 정치 테마주로 묶여 주목을 받은 것은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은성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계룡건설 회사 기조 자체가 IR을 적극적으로 수행해 주가를 제고하는 기업은 아니다"라며 “충청도 지역 건설업체 가운데 경영 및 부채 상황이 제일 안정적인만큼 회사 차원에서 주가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설 유인이 없는 곳"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