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보 등 中 기업 공세에 점유율 지속 하락세
프리미엄 폰 시장 ‘정조준’했는데 애플 영향력 확대
갤럭시 S ‘게임 성능 홍보’ 등 마케팅 강화
인건비 저렴 ‘인구 대국’ 생산거점 노사 갈등도 부담

▲삼성전자가 지난해 인도 뭄바이에 조성한 체험형 플래그십 스토어 '삼성 BKC'에서 고객들이 삼성 스마트폰을 살펴보고 있다.
삼성전자가 '인구 대국' 인도 스마트폰 시장 공략법을 찾기 위해 골몰하고 있다. 비보, 샤오미, 오포 등 중국 업체들 공세에 밀려 점유율이 지속 하락하고 있어서다. 갤럭시 S·Z 시리즈 등 프리미엄 폰 분야에서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경쟁사 애플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는 점이 부담이다.
26일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출하량 기준 삼성전자의 인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2023년 3분기 17%에서 작년 4분기 15%로 줄었다. 같은 기간 업체별 순위는 공동 1위에서 3위로 떨어졌다. 일부 리서치에서는 삼성전자의 순위가 5위까지 밀렸다는 결과도 속속 나오고 있다.
중국 기업들의 파상공세 탓이다. 같은 기간 비보는 점유율을 16%에서 20%로 끌어올리며 1위 자리를 꿰찼다. 오포(10%→11%)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샤오미는 16~18% 수준을 유지하며 삼성전자와 비슷한 성적을 유지 중이다. 시장조사기관 카날리스는 올해 1분기 비보의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13% 가량 늘며 점유율 1위(22%) 자리를 차지했다고 분석했다. 해외 매체 텔레콤리드(Telecomlead)는 해당 보고서 내용을 최근 보도하며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 점유율이 크게 하락'이라는 제목을 달았다.
삼성전자는 중국 업체들과 경쟁을 피해 프리미엄 폰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이를 위해 올해 초 갤럭시 S25 출시 이후 현지에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프리미엄 폰의 게임 성능을 선보이는 '#PlayGalaxy Cup 시즌3'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인도 유명 게이머들이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는 후문이다.
고가 제품 시장에서 경쟁하는 애플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는 점은 부담이다. 애플은 제품 가격대가 높다는 이유 등으로 당초 인도에서 존재감을 크게 발산하지 못했지만 시장 다각화 측면에서 최근 마케팅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출하량 기준 점유율 역시 2023년 3분기 6%에서 작년 4분기 11%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판매 뿐 아니라 현지 공급망 측면에서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주요 공장에서 노사 갈등이 심화한 탓이다. 첸나이 지역에 있는 삼성전자 인도법인 노조는 작년부터 임금인상, 해고자복직 등을 요구하며 농성·파업을 이어가고 있어서다. 지난해 9~10월 벌어진 대규모 파업 당시에는 전체 직원 1800여명 중 1000명 이상이 쟁의 행위에 가담해 생산에 차질을 빚었다. 이 과정에서 인도 내 상급 노동 단체인 인도노동조합센터(CITU)가 삼성전자를 타깃으로 삼아 불매운동 분위기를 조장하는 등 시끄러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인도 스마트폰 시장 규모는 중국에 이어 전세계에서 두 번째로 크다. 인구 수가 많은데 보급률은 아직 80% 안팎이라 성장 잠재력도 상당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작년 기준 인도 스마트폰 출하량을 1억5300만여대로 추산했다. 특히 스마트폰 교체 주기 프리미엄 폰을 찾는 고객들이 늘어나며 매출액 기준 규모는 무서운 속도로 커지는 추세다.
삼성전자 입장에서 놓치기 힘든 시장인 셈이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겸 MX사업부장(사장)은 지난 2023년 2월 '갤럭시 언팩' 당시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1위에 오르는 것이 첫 번째 목표"라고 언급했다. 노 사장은 지난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 참석 직후 인도를 찾아 현지 생산 시설과 판매망 등을 점검하기도 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보고서를 통해 “인도 내 보상판매 등 정책으로 접근성이 개선되면서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대한 소비자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며 “올해 프리미엄 제품 출하량은 한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전체 시장 매출액도 사상 최고치에 도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