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애플 폴더블폰 시장 진입···삼성전자 “위기를 기회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11 10:00
산업부 여헌우 기자

▲산업부 여헌우 기자

삼성전자와 애플의 스마트폰 경쟁이 새 국면에 접어든다. 애플이 신제품 출시 일정을 삼성전자와 비슷하게 조정하는 동시에 최초의 폴더블폰도 선보이기로 했기 때문이다.




주요 외신들은 애플이 내년 '아이폰 18'부터 제품 출시 일정을 재편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기존에는 매년 9월 아이폰과 프로·프로맥스를 동시에 공개해왔다. 앞으로는 일정을 두 차례로 나눠 일부 모델을 이듬해 초 출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내년 9월 애플의 첫 폴더블폰이 데뷔할 것으로 점쳐진다. 연초에는 아이폰 보급·일반형 모델을 선보일 가능성이 높다.


삼성전자는 매년 2월 갤럭시 S 시리즈를, 8월 폴더블폰을 소개하고 있다. 애플과의 정면 승부를 피하기 어려워졌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 출하량 기준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20%, 애플이 19%를 기록했다.



관심사는 폴더블폰 시장 성장 여부다. 글로벌 빅테크 애플이 제품을 선보이면 접는 폰이 '틈새시장' 대신 '프리미엄폰' 이미지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5년 이상 폼팩터, 생산공정, 부품 생태계 등에서 경험치를 쌓은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애플의 참전을 기회로 인식할 수 있다는 뜻이다. 삼성전자 자회사 삼성디스플레이가 애플 폴더블폰 핵심 부품을 공급할 가능성도 충분하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소비자들은 스마트폰을 구매하며 좀처럼 폴더블폰을 선택하지 않고 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지난해 전세계 폴더블폰 시장이 전년 대비 2.9% 성장하는 데 그쳤다고 분석했다. 올해는 한 자릿수 마이너스 성장을 예상했다. 다만 내년 애플이 시장에 진입하면서 '강력한 반등'이 일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Z 시리즈 등을 만들며 꾸준히 내공을 쌓아왔다. 중국 업체들의 추격을 뿌리치고 60% 이상 점유율을 확보 중이기도 하다. 특허·기술력은 물론 소프트웨어와 생태계 측면에서도 애플 대비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폴더블폰을 공개하는 하반기 '갤럭시 언팩'을 미국 뉴욕에서 개최하는 안을 고려 중이다. 갤럭시 Z 폴드·플립4를 공개했던 지난 2022년 이후 3년만의 미국행이다. 삼성전자가 애플의 공세 속에서 다시 한번 기술 리더십을 증명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여헌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