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AFP/연합)
미국과 중국이 갈등 완화를 위해 10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고위급 무역협상 첫날 회의를 마쳤다.
로이터통신은 양측의 첫날 회의가 오후 8시께 마무리됐고, 회의는 11일 속개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날 회의는 민감성을 감안한 듯, 국가 간 고위급 회담의 관례인 수석대표의 모두 발언 장면 공개도 하지 않는 등 비공개로 진행됐다.
양측은 상대국에 100%를 초과하는 관세를 부과하며 사실상의 무역 단절기를 보내고 있는 현 상황을 평가하면서 관세를 합리적인 수준으로 내리는 문제를 우선 협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측은 '관세전쟁'을 시작한 것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임을 강조하면서 '결자해지(結者解之)' 차원에서 미국이 대중국 초고율 관세 취소를 결단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을 가능성이 크다.
반면 미국은 관세를 내리려면 중국이 자국 시장을 미국에 대대적으로 더 개방하고, 대미 희토류 수출 중단 등의 조치들을 철회해야 한다는 입장을 개진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세계 1, 2위 경제 대국인 양국 장관급 당국자가 얼굴을 맞대고 현안을 논의한 것은 이날이 처음이었다.
미국 측 대표로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했고 중국 대표단에는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 공안과 마약 단속 분야의 최고위급 인사인 왕샤오훙 공안부장 등이 포함됐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45%로 높였고, 중국은 이에 맞서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1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했다. 이는 양국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해 세계 경제에 불확실성이 가중됐다.
이번 회담은 그간 긴장을 완화하고 향후 협상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구체적인 성과가 나오기엔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오늘 스위스에서 중국과 매우 좋은 회담이 있었다"며 “많은 것이 논의됐고 많은 것에 합의가 있었다"고 적었다.
이어 “우호적이지만 건설적인 형태로 완전한 리셋(미중 무역관계 재설정)에 대한 협상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중국과 미국의 이익을 위해 미국 기업들에 중국이 시장을 개방하는 것을 보고 싶더"며 “큰 진전이 이뤄졌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