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2025] '90년생 김용태’ 내세운 ‘광폭 빅텐트’…내부 분열 여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12 16:09

김용태·나경원·안철수·권성동 등 선대위원장 7명

한동훈·한덕수 측 불참…외연 확장 위한 행보 주목

김문수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왼쪽 5번째)가 12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중앙선대위 임명장 수여식에서 공동선거대책위원장 등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김문수 후보의 대통령선거 승리를 위한 선거대책위원회를 본격 출범시켰다. 일명 '반이재명 광폭 빅텐트'도 만든다는 구상이다. 다만 당내 갈등의 여파가 여전히 발목을 잡는 모양새다.




국민의힘은 12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중앙선대위 임명장 수여식을 진행했다. 경선에서 김 후보와 맞붙었던 나경원·안철수 의원과 양향자 전 의원 뿐 아니라 권성동 원내대표, 주호영 의원, 황우여 전 선거관리위원장, 비상대책위윈장으로도 내정된 김용태 의원이 공동선대위원장에 이름을 올렸다.


김 의원은 당이 한 전 총리로 후보를 교체하려던 것에 반대했던 '젊은 피'로, 청년본부장을 겸한다. 국민의힘은 강명구·박준태·조지연 의원 등 3040대 정치인들을 상황실에 전면 배치하는 등 기민한 대응을 위한 포진도 가져갔다.



김 후보가 당 사무총장으로 내정한 박대출 의원의 경우 총괄지원본부장직, 정희용 의원이 총괄부본부장직을 수행한다.


공약 개발은 김상훈 정책위의장과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을 중심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강민국 의원은 공보단장, 강승규 의원은 홍보본부장, 이헌승 의원은 유세본부장,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대변인단 단장이 됐다.




경선 때부터 김 후보와 함께한 김재원 전 의원은 비서실장, 장동혁 의원은 상황실장을 맡았다. 김 후보는 임명장 수여 후 “반드시 이겨야 한다"며 “제가 부귀영화를 누리자는게 아니라 대한민국을 구하기 위한 것"이라고 발언했다.


유상범 의원을 필두로 홍준표 전 대구시장 캠프 출신 인사들도 앞서 김 후보 측에 선 바 있다. 유 의원은 원내부대표·법사위 간사·법률자문위원장 등을 맡으면서 입지를 강화한 정치인으로, 캠프에서는 총괄상황본부장을 맡은 바 있다.


그러나 한 전 총리가 선대위원장직을 고사하고, 캠프에 속했던 인물들도 선대위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빅텐트 구성에 차질을 빚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동훈 전 대표 역시 선대위 합류 가능성이 낮은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외연 확장을 위한 행보도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여론조사 등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의 격차가 큰 만큼 세를 불려야한다는 것이다.


황태순 시사평론가는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와의 단일화가 반이재명 빅텐트를 위한 솔루션으로 보고 있다. 중도층 표심을 잡을 수 있는 '마지막 카드'라는 것이다.


그는 “어느 정도 덩어리(지지율), 실체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일정 수준(여론조사 3%) 이상의 지지율을 지닌 후보가 합류해야 실질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 후보가 단일화 및 빅텐트에 응할 생각이 전혀 없다는 입장을 연일 표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후보 캠프에서는 국민의힘 단일화 파동 등으로 온라인 당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새로운 포맷과 정책 콘텐츠로 외연을 넓힌다는 계획이다.


최요한 정치평론가는 김 후보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에 대한 전향적 입장을 피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전 대표가 계엄 및 탄핵 반대에 대한 사과, 윤 전 대통령 부부와의 절연 등을 필요조건을 내걸었기 때문이다.


최 평론가는 “윤 전 대통령의 메세지는 도움되지 않을 것"이라며 “(다수의) 공동선대위원장들을 앉히는 것이 별다른 의미가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중도층에게 김 후보와 한 전 총리의 단일화가 크게 와닿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 전 총리가 계엄을 반대했으나, '친윤' 쪽에서 후보로 밀었던 만큼 시너지 효과가 없다는 이유다.



나광호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