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4수 SK엔무브, ‘전략 부재·시장 불신’ 해결해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15 15:00

세 번 철회로 신뢰 잃은 IPO
시장은 ‘자금조달용’ 의구심
성장전략 없이 구주매출 반복
투자자 보호장치 마련이 관건

SK엔무브 CI

▲SK엔무브 CI

SK엔무브(옛 SK루브리컨츠)가 네번째 기업공개(IPO)에 나서는 가운데 시장의 눈길이 따갑다. 이번에는 한국거래소가 사전 협의 단계에서 투자자 보호 방안을 보다 명확히 하라고 요구하며 제동을 걸었다.




이에 시장에서는 SK엔무브가 과거 세 차례 IPO를 추진했지만 번번이 철회한 전력이 있다는 점과 함께, 그동안 반복적으로 지적됐던 구조적 문제에 대한 개선 노력 없이 상장을 재추진하고 있다는 비판을 내놓고 있다.


특히 전략 부재, 그리고 모회사 중심의 단기적 자금 조달 논리가 반복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투자자 보호와 신뢰 회복이 강조되는 현 시점에서 이번 IPO가 성사되기 위해선 단순한 실적 안정성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세 차례 철회된 상장…명분은 없고, 타이밍만 봤다

15일 재계에 따르면 SK엔무브의 상장 추진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 회사는 과거 SK루브리컨츠 시절이던 2013년, 2015년, 2018년 세 차례에 걸쳐 IPO를 추진했지만 모두 철회했다.


그 이유는 시기마다 달랐지만, 공통적으로는 시장 친화적이지 못한 기업가치 제시와 모회사(SK이노베이션)의 과도한 구주매출 계획, 윤활유 산업에 대한 성장성 불신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2013년 첫 시도는 세계 경기 침체 여파로 급격히 악화된 실적이 원인이었다.


당시 SK루브리컨츠는 2010년과 2011년에는 각각 3230억원, 519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지만, 2012년 4분기에는 277억원까지 급감하며 상장을 철회했다.


두 번째 시도였던 2015년에는 SK이노베이션이 37년 만에 영업적자를 기록하면서 자회사 IPO를 다시 추진한 사례다.


하지만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와의 경영권 매각 협상이 병행되며 혼란을 자초했다. 결국 기업가치 평가 논란과 IPO·M&A 병행 추진에 따른 시장 불신으로 상장은 무산됐다.


가장 최근 시도였던 2018년은 실적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조건이었지만, 결과는 같았다.


당시 SK루브리컨츠는 연간 영업이익 5049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기업가치 5조원대의 수준을 제시했지만, 공모가 희망밴드(10만1000~12만2000원)가 PER 기준 13~15배에 달해 고평가 논란에 휘말렸다. 기관 수요예측에서 저조한 반응이 나오자 상장을 전격 철회했다.


SK엔무브

▲SK엔무브 상장 일지.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 등

이번에는 무엇이 달라졌나

2025년 들어 다시 IPO에 나선 SK엔무브는 과거와 비교해 구조적으로 큰 차이는 없다.


여전히 SK이노베이션이 70%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이며, 나머지 30%는 IMM 크레딧앤솔루션(PEF)이 보유 중이다. 과거와 마찬가지로 IPO 수익의 상당 부분은 기존 주주의 구주매출 형태로 귀속될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 IPO의 핵심 목적이 여전히 '성장 투자 자금 확보'가 아닌, '모회사 및 투자자의 현금 회수'에 초점이 맞춰졌다는 시장의 시각은 여전히 유효하다.


과거 SK이노베이션은 IPO를 통해 최대 1조2500억원의 구주매출 자금을 확보하려 했으며, 이는 공모 총액의 80%에 달하는 비중이었다. 이는 신규 투자보다는 기존 주주의 유동성 확보 목적이라는 인상을 줄 수밖에 없다.


한국거래소가 이번 사전협의에서 투자자 보호 방안을 보다 명확히 할 것을 요구한 배경에도 이러한 구조적 우려가 반영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모회사로부터 물적분할로 태어난 SK엔무브는 상장 시 모회사 SK이노베이션 주주의 가치 희석 가능성이 제기되는 '중복상장' 구조이며, 이는 최근 강화된 거래소 심사 기준과도 충돌한다.


모회사 중심의 IPO 전략, 신뢰 회복 가능할까

SK이노베이션은 SK온 투자 확대, 재무구조 안정화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SK엔무브 상장은 재무적 수단이 될 수 있지만, 과거 세 차례의 철회 사례에서 보듯, 자회사 IPO가 단기적 수단으로 반복될 경우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기 어렵다.


한국거래소가 이번에 투자자 보호를 보다 구체적으로 요구한 것도 이와 같은 배경에서다. 단순히 재무지표와 실적 수준을 넘어서, IPO 목적의 정당성, 자금 사용계획, 상장 이후 시장가치 관리 방안까지 포함한 명확한 청사진이 요구되는 시대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시장은 이미 과거를 기억하고 있다"며 “"SK엔무브의 상장이 성사되기 위해선, 투자자를 설득할 수 있는 근본적인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단기 재무전략이 아닌, 지속 가능한 사업 전략과 투명한 상장 구조로 응답하지 않는다면, 이번 시도 역시 반복된 실패의 한 줄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강현창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