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사 주배관망 5206km, 도시가스 배관망 5만3601km
전국 곳곳에 싸고 깨끗한 가스에너지 전달 국가의 힘줄 역할
지하 매설로 굴착 시 사고 우려, 말레이시아 대형사고 발생
가스안전공사, 2014년부터 매해 매설배관 진단기술 세미나 개최

▲도시가스 배관망 설치하는 모습. 연합
전기를 실어 나르는 전깃줄이 국가의 핏줄이라면 가스를 실어 나르는 가스관은 힘줄과 같다. 저렴하고, 깨끗하며, 안정적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 구축은 경제를 넘어 국민 삶에 매우 중요하다.
17일 한국도시가스협회 연간통계에 따르면 국내 가스관망이 총 6만km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기준 전국 도시가스 배관망은 총 5만3601km가 구축됐다. 사별로는 삼천리가 8084km로 가장 많고, 이어 서울도시가스 4632km, 예스코 3491km, 코원에너지서비스 3361km, 대성에너지 3112km, 경남에너지 2570km, 경동도시가스 2537km, 해양에너지 2531km, 대륜E&S 2076km, CNCITY 1766km, 인천도시가스 1636km, 미래서해에너지 1067km 등이다.
2023년 기준 수도권 배관망은 2만3868km 구축돼 전년보다 1.1 증가했고, 지방 배관망은 2만9733km로 전년보다 2.5% 증가하며 지방의 증가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가스 배관망에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한국가스공사의 주배관망은 제주도를 포함해 2024년 기준 5206km가 구축됐다. 가스공사는 주배관망 곳곳에 블록밸브 129개, 차단관리소 146곳, 정압관리소 158곳을 설치했으며, 1일 2회씩 망을 순찰하며 안전을 감시하고 있다.
도시가스 배관망과 주배관망을 합하면 5만8807km이다. 연간 약 1000km 배관망이 새로 구축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 총 배관망 길이는 6만km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구 둘레(약 4만km)를 한바퀴 반이나 감을 수 있는 길이다.
가스배관망은 대부분 지하에 매설돼 육안으로는 파악이 쉽지 않고 굴착을 통해 설치공사 등 작업이 이뤄진다. 이 때문에 굴착과정에서 종종 사고가 발생한다.
한국가스안전공사의 가스사고연감에 따르면 2023년에 총 굴착공사 신고 건수는 28만건이다. 이 가운데 가스사고는 총 49건이 발생했다. 서울 10건, 경기 10건, 인천 3건으로 수도권 비중이 가장 높고 강원(7건)과 전남(8건)도 만만치 않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가스안전공사가 15일 제주 베스트웨스턴 호텔에서 개최한 '매설배관 진단기술 향상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처럼 가스관 사고는 쉽게 발생하진 않지만 한번 났다하면 엄청난 피해를 일으킨다.
지난 4월 1일 말레이시아 최대 도시 쿠알라룸프에서 대형 가스관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불기둥이 아파트 20층 높이까지 치솟았다. 이 사고로 최소 112명이 다쳤고, 주택 190채와 자동차 148대가 손상됐다.
우리나라에서도 대형 폭발 사고가 몇 건 있었다. 가장 큰 것은 딱 30년 전인 1995년 4월 28일 대구 달서구 상인동에서 발생한 사고다.
당시 백화점 공사 업체가 천공기를 사용해 굴착 작업을 하다 지하에 매설돼 있는 가스관을 뚫어버렸다. 가스관에서 샌 가스는 옆에 있는 우수관을 타고 인근 지하철 공사장까지 흘러갔고, 결국 가스에 점화가 이뤄지면서 대형 폭발이 일어났다. 차량 150대가 파손되고, 건물 80여채가 파괴됐으며, 출근길에 일어나 사망 101명, 부상 202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1년 전인 1994년 12월에는 서울 마포구 아현동에서 대형 가스 폭발 사고가 일어났다. 도시가스 밸브스테이션에서 공사 중 일어난 폭발로 화재가 발생해 건물 145동이 파손되고 사망 12명, 부상 101명이 발생했다.
가스안전을 책임지는 한국가스안전공사는 배관망의 안전기술을 향상하기 위해 매년 기술향상 세미나를 열고 있다.
지난 15일에는 제주도 베스트웨스턴호텔에서 한국가스공사, 대한송유관공사, 도시가스사 등 매설배관 관련 안전실무자 약 100명과 함께 '2025년 매설배관 진단기술 향상 세미나'를 개최했다.
공사는 2014년부터 매해 행사를 개최하며 매설배관 안전관리 수준 향상과 사고 예방 활동 강화를 위한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는 국내 매설배관 사업소 대표자 및 안전담당자, 도시가스 및 송유관 관련 기관이 함께 참석해 폭 넓은 기관 간 기술교류로 매설배관 안전관리 기술 발전을 촉진하는 계기가 됐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매설배관 내진설계 등 5개의 주제발표가 있었으며, 안전관리 유공자에 대한 포상(공사 사장표창 4점)이 함께 진행됐다.
박희준 가스안전공사 기술이사는 “장기사용 배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체계적인 관리가 중요하다"며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발생한 대형 가스관 폭발사고와 같은 대형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설배관의 안전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