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줄이기’ 경쟁…친환경 콘크리트 3파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18 12:17

롯데·포스코·현대, 각기 다른 저탄소 기술로 시공 혁신 주도

물 절감 혼화제·슬래그 시멘트·3D 프린팅 기술 상용화

분양가 상한제·PF 심사서도 저탄소 기술이 경쟁력으로 부상

롯데건설

▲롯데건설 직원이 서초 헌인마을 현장에서 '차세대 혼화제'가 적용된 콘크리트를 테스트하고 있다. 사진=롯데건설

건설업계가 콘크리트 제조 단계에서부터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롯데건설, 포스코, 현대건설은 각각 혼화제, 슬래그 시멘트, 3D프린팅 등 차별화된 기술을 상용화하며 저탄소 경쟁에 뛰어들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건설은 최근 차세대 혼화제 'EPEG'를 개발했다. 이 혼화제는 물 사용량을 최대 20㎏/m³(약 10%) 줄이면서도 성능을 크게 높인 점이 특징이다. 일반 골재(보통 품질 골재)를 사용한 경우 압축강도가 32.2MPa에서 38.2MPa로 15.8% 향상됐고, 저품질 골재에서도 30.2MPa에서 34.7MPa로 13.0% 개선됐다. 이 같은 기술 혁신은 물 자원 절감과 품질 강화를 동시에 실현해 동절기나 대형 현장에서도 안정적인 콘크리트 품질을 보장한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현재 서울 서초구 헌인마을을 시작으로 다른 현장에도 적용중에 있으며, 하반기에 더욱 확대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롯데건설 차세대 혼화제 'EPEG'

▲롯데건설 차세대 혼화제 'EPEG' 압축강도·물사용저감량. 자료=롯데건설

포스코는 철강 제조 부산물인 슬래그를 활용한 저탄소 시멘트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지난 4월 11일에는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GS건설, 포스코이앤씨, 한일시멘트, 유진기업, 한국콘크리트학회 등과 함께 '슬래그 시멘트 생태계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포스코와 산하 연구기관 RIST는 슬래그 공급과 기술 개발을, 시멘트·레미콘사들은 고품질 제품 생산을, 건설사들은 이를 활용한 시공을 맡는다. 콘크리트학회는 품질 점검과 지침 마련을 담당할 예정이다.



슬래그는 철광석에서 철을 추출한 후 남은 부산물로, 석회석을 대체할 수 있다. 수화열이 낮아 콘크리트 균열을 줄이고 내구성도 높이는 장점이 있다. 포스코는 슬래그 시멘트를 활용한 마산~진주 복선전철 등에서 기존 시멘트 대비 탄소 배출량을 최대 40% 줄였다고 밝혔다.


현대건설은 조강 콘크리트와 3D프린팅 기술을 접목해 공사 기간과 에너지 소비를 동시에 줄이고 있다. 최근 부산 스마트시티 연구개발(R&D)센터에서는 50m 길이의 주차장 벽체를 3D 프린터로 제작해 거푸집과 폐기물을 70% 절감하고 공기(工期)도 30% 단축했다. 조강 콘크리트는 겨울철에도 빠르게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동절기 시공에 유리하다. 현대건설은 이 기술을 인천 송도 바이오단지, 제주 친환경 리조트 등에 시험 적용했으며, 향후 고층 아파트 시공에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러한 저탄소 기술은 단순한 시공 효율을 넘어 사업성 측면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분양가 상한제 지역에서는 친환경 자재 사용 시 비용이 분양가에 가산되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심사에서도 탄소 저감 기술이 가점 요소로 작용하는 추세다. 일부 금융기관은 ESG 채권 발행 시 탄소 감축 실적을 평가 항목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친환경 자재는 분양가 책정에서 비용 가산이 인정되고, PF 심사에서도 명확한 플러스 요인이 된다"며 “이제 콘크리트 제조 기술이 분양성과 자금 조달 능력까지 좌우하는 핵심 요소가 됐다"고 평가했다.


한편, 정부는 저탄소 건축자재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제도 전반을 손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그린 리모델링 사업' 확대를 통해 공공·민간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 개선을 지원하고, 저탄소 인증 자재를 사용한 경우 인허가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공동으로 '저탄소 자재 품질 인증제'를 도입해 올해 하반기부터 시판 전 제품에 대한 탄소 배출량 검증을 의무화할 계획이다.



서예온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