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 때문에 급하다” 위조 명함 전달…2700만 원 송금 피해
“공무원은 물품 대납 요구 안 해”…광양시, 유사 피해 주의 당부

▲광양시가 공무원 사칭 사기행각에 주의를 당부하는 카드뉴스 제공=광양시
광양=에너지경제신문 권차열 기자 최근 광양시청 공무원을 사칭한 전화금융사기 사건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실제 금전 피해까지 발생하면서 지역사업장과 공직사회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광양시는 지역 업체와 시민들을 상대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는 등 피해예방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12일 광양시에 따르면 지난 11일 한 사기범이 시청 소속 주무관을 사칭해 지역에 사업장을 둔 A업체에 연락, 약 8000만 원 상당의 물품 납품을 요청했다. 범인은 “감사 관계로 시급하다"며 광양시청 직원을 사칭한 위조 명함과 함께 대리구매업체 명함까지 전달하고 “물품 대금은 추후 시청에서 지급될 예정"이라며 업체로부터 선입금을 유도했다.
피해 업체는 이에 따라 대리구매업체로 위장된 계좌에 총 세 차례에 걸쳐 2700만 원을 송금했으나 이후 이상한 낌새를 느끼고 평소 알고 지내던 시청 직원에게 확인한 끝에 사기임을 인지했다.
명의를 도용 당한 공무원은 피해업체와 만나 피해사실을 확인 한 후 광양경찰서에 신고했다.
광양시에서는 이외에도 최근 시청 총무과 및 타 부서 주무관을 사칭한 유사 사례가 여러 건 발생하고 있다. 청소용품, 샷시 설비, 심장제세동기(AED) 등의 특정 물품을 납품하라며 대납을 요구하는 수법을 썼다. 다행히 해당 사례들에서는 아직까지 금전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시는 사기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시 공식 SNS와 보도자료를 통해 피해 내용을 공지하고 전 부서에 주의 공문을 발송하는 한편 새올게시판에도 관련 내용을 게시했다. 또 광양상공인회를 비롯한 유관 단체와의 협조를 통해 피해 예방 활동을 강화할 방침이다.
광양시 관계자는 “광양시청 직원은 어떠한 경우에도 업체에 물품 구매나 대납을 직접 요청하지 않는다"며 “공무원을 사칭한 의심스러운 연락을 받을 경우 반드시 해당 부서에 사실 여부를 확인하거나 경찰에 즉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