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에너지경제신문 송종영 기자 전북특별자치도가 도시침수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AI 기반 과학기술 재난관리체계를 도입하며, 디지털 기반 안전도시로의 전환에 나선다.
전북도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전북테크노파크와 손을 맞잡고 '도시침수 디지털 대응 시스템' 도입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
24일 전북도에 따르면 KISTI가 개발한 디지털 도시침수 대응 시스템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시간 단위로 변하는 기상 정보와 강수량, 실시간 CCTV 영상, 지형 정보를 바탕으로 침수 가능성을 예측하고, 위기 단계별로 대피를 유도한다.
모니터 속 시뮬레이션이 현실의 골목과 도로 위에 물결을 흐르게 할 때, 위험은 상상이 아닌 분석으로 다가온다.
협약에 따라 세 기관은 고성능 컴퓨팅(HPC)과 AI 기술이 적용된 도시침수 예측·분석 솔루션을 도입하고, 도내 실증사업을 통해 현장 적용성을 높일 계획이다.
'디지털 도시침수 대응시스템'은 기상특보, 강수량, CCTV 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실시간 침수 모니터링과 피해 예측, 대피 안내 기능을 제공하는 3차원 시뮬레이션 기반 시스템이다.
전북도는 이 기술이 '시스템'이라는 이름에 그치지 않도록 지난 3월부터 도내 14개 시·군 재난 담당자들과 협의에 들어갔고, 4월에는 실무 교육과 시스템 시연회를 세 차례 이상 열었다.
협약은 단지 침수를 막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감에 의존하던 대응 체계에서 벗어나,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기 상황을 통합적으로 바라보고 빠르게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예측형 재난관리'로의 대전환이다.
KISTI와 전북TP는 기술을 넘어선 협력도 약속했다. 단순한 장비 제공을 넘어, 전북의 지역성과 재난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대응 솔루션을 함께 설계하고 실증하는 과정을 지속해나갈 계획이다. 고장난 사이렌이 아니라, 정확한 AI 신호가 주민의 발걸음을 대피소로 이끌 날도 멀지 않았다.
김관영 지사는 이날 협약식에서 “우리는 민선 8기 이후 단 한 명의 인명 피해도 발생시키지 않았다"며, “과학기술을 통한 사전 예방이야말로 가장 강력한 방재"라고 강조했다.
전북도는 2023년과 2024년 여름철 자연재난 대응에서 우수 지자체로 선정되었으며, 민선 8기 이후 현재까지 인명피해 '제로'를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