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읽고 토론…비판적 사고·시민의식 함양
‘Great Books’ 프로그램 운영…초·중·고 대학생 200여명 참여
학교 교육과정 확대, 튜터 양성·해외 연수 확대 추진
육동한 시장 “정보를 넘는 가치, 교육이 채워”

▲육동한 춘천시장은 15일 오후 브리핑룸에서 'Great Books' 프로그램 도입 배경과 성과 햐후 계획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박에스더 기자
춘천=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육동한 춘천시장은 “지금 세대는 AI를 비롯해 교육적 재료가 풍부한 시대에 살고 있지만 정작 비어 있는 부분도 많다. 춘천시는 그런 빈틈을 조금이라도 채우기 위해 고전 읽기와 토론을 통해 생각의 힘을 키우는 교육혁신의 무대를 넓히고 있다"고 말했다.
육 시장은 15일 기자회견을 갖고 최고의 교옥도시 춘천을 위한 'Great Books' 프로그램의 도입 배경과 성과, 앞으로의 계획을 밝히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세인트존스대학교의 애밀리 랭스턴(Emily Langston) 종장 선임고문, 네이선 쉴즈(Nathan Shields)교수가 함께 자리해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말까지 진행하는 '글로벌 인재양성 Great Books 여름캠프'에 대한 질의응답에 참여했다.
춘천시는 Great Books'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의 새로운 길을 열고 있다. 고전읽기를 매개로 학생들이 스스로 질문하고 토론하며 사고를 확장하는 방식의 이 프로그램은 문해력, 비판력, 사고력, 협업능력을 기르며 미래사회를 이끌 글로벌 인재를 육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는 2023년 12월 'Great Books 프로그램 포럼'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해 2024년에는 세인트존스대학, 춘천교육지원청과 3자 협약(MOA)를 체결했다. 이후 지역 내 초중고등학교에서 시범운영을 거쳤고 올해 상반기에는 4개 학교에서 세미나를 열고, 교사 23명이 참여하는 튜터 양성과정도 진행했다.
특히 올해 여름에는 세인트존스대학 교수진과 학생 10명이 직접 춘천을 방문해 한 달간 200여명의 초·중·고 대학생이 참여하는 '2025 글로벌 인재양성 그레이트북스 여름캠프'를 운영 중이다. 캠프에서는 '플라톤 동굴의 우화'부터 '프랑켄슈타인', 유토피아' 등 다양한 고전을 주제로 20개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15일 춘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Great Books'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기자회견에서 애밀리 랭스턴 교수가 기자의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박에스더 기자
애밀리 랭스턴 교수는 이날 기자들의 질문에 “그레이트 북스는 매우 민주적이고 평등한 분위기에서 진행된다. 교수나 박사라도 모두 동등한 위치에서 대화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며 논쟁하더라도 사람을 공격하지 않고 아이디어에 집중한다"며 “우리가 찾는 건 하나의 정답이 아니라 책의 의미를 함께 탐구하고, 끝없이 성찰하는 과정이다. 토론을 통해 서로의 생각을 넓혀가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레이트북스에서 선정하는 고전들은 100년 혹은 그 이상의 오랜 세월을 가지고 있는 것들이다. 또한 인간에 대한 깊은 내면의 성찰과 사회 내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역할,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 민주시민으로서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 등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책들을 중심으로 한다"고 덧붙였다.

▲육동한 춘천시장이 15일 춘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Great Books'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기자회견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박에스더 기자
육동한 춘천시장은 “입시위주, 암기 위주의 교육방식을 보완하고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사업으로 이 프로그램을 도입하게 됐다"며 “학생들이 시대를 초월한 질문과 사유의 장에서 생각하는 힘을 기르고 세계와 소통하는 인재로 성장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어 “지금 전 세계적으로 AI 기술이 널리 보급된 이 시기야말로 오히려 그레이트 북스와 같은 교육이 더 중요하다고 믿는다. AI가 주는 정보의 가치를 학생 스스로 비판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고 면대면으로 사람과 사람 간에 대화하고 토론하며 관계를 회복하고 교류하는 장을 여는 데에도 이 프로그램이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춘천시는 올 하반기에도 학교 내 세미나와 교사 대상 튜터 양성을 확대하고 내년부터는 고등학생과 교사들을 미국 세인트존스대학 여름 세미나에 파견할 예정이다. 더불어 홈스테이 및 튜터 교류 등 양 도시 간 국제교류 프로그램도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