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7일 부산 벡스코서 열려…스마트모빌리티 비전도 제시

▲2025 월드 스마트 시티 엑스포(WSCE) 대한항공 부스 전경. 사진=대한항공 제공
대한항공은 15~17일 사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5 월드 스마트 시티 엑스포(WSCE)'에서 참가해 미래 스마트 모빌리티 사업의 비전을 제시하고, 첨단 항공우주사업 기술 역량을 선보인다고 15일 밝혔다.
WSCE는 세계 각국 스마트 시티 관련 최신 기술과 혁신을 공유하기 위해 지난 2017년부터 국토교통부·과학기술정통부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아시아 최대 스마트시티 전시회다. 지난해 행사는 전 세계 70개국 330여 개 기관과 기업이 참석했고, 3만 9000여 명의 참관객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
올해는 도시가 주체가 되는 행사로 전면 개편해 스마트 시티 분야 혁신 기술과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인다.
대한항공은 올해 전시에서 기업 가치체계 'KE 웨이'를 중심으로 자사 항공우주사업의 우수한 역량과 스마트 모빌리티 관련 최신 기술을 소개한다. 부스에는 '더 나은 세상을 위한 연결(Connecting for a better world)'라는 주제로 대한항공의 기술이 적용된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디지털 MRO △스마트 드론 등 3개의 섹션으로 나눠 첨단 기술력을 선보인다.
특히,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접목된 인스펙션 드론은 항공기 외관 검사 시 고소 작업 환경에 대한 정비사의 안전 문제를 해소하고 정비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만큼 일부 성능을 개량해 스마트 모빌리티 사업에도 활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항공기 결함 발견 시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적합한 정비 활동 계획을 제안하는 챗봇과 장기 체공이 가능해 육·해상 환경 조사·정찰 및 물품 배송 등에 적합한 하이브리드 드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도 공개한다.
이밖에 최근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생태계의 운항 시스템과 교통관리 시스템 구축에 앞장서며 다양한 노하우를 쌓아온 대한항공은 UAM 분야의 떠오르는 강자로서의 면모도 드러낸다. 행사기간에 UAM 운항 통제·교통 관리 솔루션인 '어크로스(ACROSS)'를 공개해 UAM 서비스의 혁신과 안정성을 보여줄 계획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 참가는 당사의 첨단 기술과 혁신을 미래 스마트 모빌리티 산업에 적용하고, 항공우주사업 분야의 노하우를 기반으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