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가계대출 5조 안팎 예상
6월 6.8조 정점 후 증가 폭 축소
6·27 대책·DSR 규제 강화 영향
주담대 시차 등 변수…“증가세 지속”

▲5대 은행의 지난 17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7조4194억원으로, 전월 대비 2조5845억원 증가했다. 현재의 속도로 보면 이달 가계대출 증가 폭은 5조원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사진은 남산 N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둔화됐다. 지난 6월 하루 평균 약 2300억원씩 증가하던 가계대출이 이달 들어 하루 평균 1500억원 수준으로 줄었다.
다만 이달 초 비대면 가계대출 일부가 중단된 데다, 이전에 신청한 주택담보대출이 시차를 두고 집계되는 만큼 가계대출 증가세가 본격적으로 꺾였는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다.
20일 각 은행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 17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7조4194억원으로, 전월 대비 2조5845억원 증가했다. 현재의 속도로 보면 이달 가계대출 증가 폭은 5조원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이는 10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던 6월의 6조8000원에 비해 감소한 수치다. 올해 들어 가계대출은 지난 3월 1조8000억원, 4월 4조5000억원, 5월 5조원으로 매달 증가폭이 확대됐다가 6월 가장 많이 늘어난 후 이달 들어 다시 축소되는 모습이다. 이달 가계대출은 하루 평균 1520억원씩 늘어 지난달(2251억원)보다 731억원 줄었다.
주담대 증가 폭도 둔화됐다. 이달 주담대는 2조3479억원이 늘어나 하루 평균 1381억원 늘었다. 지난달 하루 평균 증가액(1921억원)에 비해 감소했다.
신용대출도 크게 줄었다. 신용대출은 이달 17일까지 2010억원(하루 평균 118억원)이 늘었으며, 월말까지 약 3800억원 증가하는 것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에는 1조876억원이 불었다. 신용대출이 한 달 동안 1조원 이상 늘어난 것은 2021년 7월 이후 처음이다. 하루 평균 증가액은 363억원이었는데, 이달은 증가 속도가 3분의 1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발표한 6·27 대책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6·27 대책에 따르면 수도권·규제지역에서는 6억원 이상의 주담대가 불가능하고, 주담대 만기는 30년 이내로 축소됐다. 신용대출 한도는 연 소득 이내로 제한됐다. 여기에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더해지며 부동산 시장은 관망세로 전환됐다.
특히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인기 지역의 거래량이 크게 줄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달 들어 16일까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981건으로 전월 같은 기간 대비 82% 감소했다. 강남구는 182건에서 59건으로 68%, 송파구는 183건에서 91건으로 50%, 마포구는 373건에서 27건으로 92% 각각 줄었다.
단 가계대출이 안정세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 대책 발표 후 이달 초중순까지 은행들은 대책의 세부 내용을 전산시스템에 반영하기 위해 비대면 주담대와 신용대출 등 일부 상품의 취급을 중단했다. 신용대출은 대부분 비대면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이번 일시 중단의 여파가 컸을 것이란 분석이다. 대책 시행 전 주담대 접수가 크게 늘어난 것도 시차를 두고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주담대는 신청부터 실행까지 1~3개월의 시간이 걸려 당분간은 증가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6·27 대책과 DSR 규제 강화가 동시에 시작된 이달 이후의 가계대출 추이가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