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통상 발목잡혀 삼성·현대차·LG 등 줄줄이 수익 감소
日 관세 15% 타결, EU·中도 조만간 완료 한국 압박가중
기업 선제적투자 이은 정부 ‘개방·투자 보따리 규모’ 관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국내 주요 기업들이 '미국 관세 불확실성' 여파로 휘청이고 있다.
품목별 관세, 수요 위축 등 영향으로 삼성, 현대차, LG 등이 기대 이하의 2분기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예고한 시한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기업들은 정부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4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4조6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56%, 전분기와 비교해 31.2% 각각 줄어든 수치다. 6조원대를 예상한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 실적충격(어닝쇼크)이었다.
LG전자도 기대 이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2분기 영업이익이 6391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보다 46.6% 감소했다. 전 분기와 비교해도 49.2% 빠진 실적이다. LG이노텍은 같은 기간 영업이익이 92.5% 급감해 충격에 휩싸였다. 현대자동차 역시 2분기 영업이익이 3조6016억원으로 지난해 보다 15.8% 줄었다.
'관세 리스크'가 기업 실적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사업 부진이 지속하는 가운데 가전·TV 등이 관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LG전자 역시 매출·영업이익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관세와 물류비 부담을 들었다.
미국은 지난 3월12일(이하 현지시간) 철강·알루미늄 품목별 25% 관세를 발효했다. 4월5일에는 모든 수입품을 대상으로 10% 보편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지난달 23일부터는 냉장고, 건조기, 세탁기 등 가전제품에 쓰이는 철강 파생제품에 50% 고율 관세를 더하고 있다.
현대차 2분기 매출(48조2867억원)이 작년 2분기보다 7.3% 증가했음에도 영업이익이 하락한 것 역시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역대 최대 수준인 분기 매출을 올렸지만 4월부터 부과된 미국 25% 관세에 수익성이 떨어진 것이다.
기업들은 오는 8월 1일이 미국이 정한 협상 마감 시한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한국 통상 대표단은 25일 '한미 고위급 2+2 통상협의'에서 다양한 형태의 '선물보따리'를 꺼낼 심산이었다고 전해진다. 다만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다른 일정이 생겨 해당 협상은 취소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시장 개방에 동의하는 나라에만 관세를 내리고, 그렇지 않으면 훨씬 더 높은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며 협상이 진행 중인 나라들을 압박했다.
주요국들은 미국과 속속 무역 합의를 타결하고 있다. 이날까지 영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일본 등이 미국과 의견을 일치시켰다.
기업들은 한국과 통상 환경이 비슷한 일본이 상호관세율 15%로 무역 합의를 이룬 것을 일종의 '기준선'으로 삼고 있다. 일본은 수입차 및 농산물 시장 개방 요구를 받아들이고 미국에 대규모 투자도 약속했다.
미국에서 일본 기업들과 정면승부를 벌이고 있는 완성차 업계는 분위기를 더욱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대미 수출 자동차 대수는 143만대다.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는다.
현대차·기아가 현지에 생산 기반을 마련해두고 있긴 하지만 제네시스를 비롯한 일부 고부가가치 차종들이 한국에서 선적되고 있다. 토요타·혼다 등 상황도 비슷한데 한국이 일본(15%) 보다 높은 관세율을 부과받을 경우 현지에서 가격 경쟁력이 사라지거나 기업 이익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우려된다.
우리 기업들은 대규모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양국 협상에 힘을 보탠 상태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지난 3월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조지아주에 210억달러(약 28조2800억원) 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삼성전자(370억달러, 약 50조5000억원)와 SK하이닉스(38억7000만달러, 약 5조2860억원)도 반도체 생산 거점을 만들고 있다. 대한항공은 보잉의 및 GE에어로스페이스와 총 327억달러(약 44조6600억원) 규모 공급계약을 체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