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군민 안전 최우선”…청도군, 폭우 피해 복구·방역 총력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7.24 10:02

감염병·가축질병 선제 차단…폭염 대응 체계도 가동




최근 집중호우와 이상 고온으로 청도군의 재난 대응 역량을 시험대에 올려놓고 있다. 청도군은 단순한 피해 복구를 넘어 감염병 차단, 온열질환 예방, 가축 전염병 확산 저지까지 동시에 대응해야 하는 복합 위기와 맞서고 있다.본지는 기획특집 '기후 재난과 지역의 대응' 시리즈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기초자치단체의 현장 대응력과 재난 관리 시스템을 점검해본다. 첫 번째 순서로 경북 청도군의 집중호우 피해 복구와 폭염·가축질병 대응 실태를 취재했다.<편집자주>


1

▲사진=청도군청 전경

청도=에너지경제신문 손중모기자 청도군이 지난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복구에 속도를 내며 감염병 차단과 폭염 대응에도 발 빠르게 나섰다.



방역 전담팀 투입은 물론, 온열질환 감시와 가축 질병 예방까지 전방위 대응 체제를 가동 중이다.


1

▲청도군 청도군 월곡리 농공단지 방역 모습 제공=청도군

◇침수 지역 중심 선제 방역…“2차 감염 막아야죠"




청도군은 지난 17일부터 19일까지 이어진 집중호우로 침수 피해를 입은 청도읍 월곡리 농공단지 지하차도와 고수리 아파트 인근 지역에 방역기동 전담팀 12개를 긴급 투입했다.


침수된 도심과 하천 인접 지역, 주택 밀집 구역을 중심으로 소독 작업을 집중 실시해 감염병 2차 확산을 차단하고 있다.


김정운(64·청도읍 고수리) 씨는 “며칠 전만 해도 하수구에서 냄새가 심하고 벌레가 들끓어 병이라도 날까 걱정됐다"며 “그런데 방역차가 몇 차례 다녀간 뒤 한결 나아졌다. 이렇게 신속하게 조치해줘 다행"이라고 말했다.


군 관계자는 “취약 지역 중심으로 방역 활동을 선제적으로 확대하고 있고, 지역 보건소와도 유기적으로 협력해 민원이 발생하는 곳은 즉시 출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 행복마을아파트방역 모습 제공=청도군

폭염 속 온열질환 비상…독거노인 밀착 관리


청도군은 여름철 폭염에 대비해 지난 6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온열질환 24시간 응급의료감시체계를 운영 중이다.


청도보건소와 청도대남병원, 청도소방서 등과 협조 체계를 구축해 환자 발생 시 신속한 이송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대응하고 있다.


특히 독거노인과 중증질환자, 거동이 불편한 주민 등을 대상으로는 방문 건강관리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군 보건소 직원들이 가가호호 방문해 체온, 혈압 등을 체크하고, 폭염 대응 요령도 함께 안내하고 있다.


청도군 각 읍면에 설치된 무더위 쉼터도 운영을 재정비해 냉방기 가동 상태와 위생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청도보건소 건강증진팀 권효정 팀장은 “무더위에 특히 취약한 분들이 많아 밀착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며 “온열질환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연락해 달라"고 당부했다.


1

▲청도군 이서면 가금리 축산농가 최재희씨 농장 소독 모습 제공=청도군

가축질병 선제 차단…“물웅덩이도 없앴어요"


집중호우가 몰아친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군은 축협과 협력해 가축 방역 차량 4대를 동원해 주요 축사 지역에 대한 긴급 방역을 실시했다.


모기와 파리는 최근 농가를 긴장시키는 '럼피스킨병'의 주요 매개체다. 이에 군은 축사 인근 물웅덩이 제거, 연막소독, 주기적 소독을 병행하고 있다.


청도읍 인근에서 한우를 키우는 박선규(52) 씨는 “폭우 뒤에 해충이 갑자기 많아져 걱정했는데 군에서 방역차로 매일 소독을 해줘 안심이 된다"며 “예방이 최선이라는 걸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고"고 말했다.


군은 22일부터 일주일간을 '집중 소독 기간'으로 지정하고, 소규모 농장과 하천 인근 농로 등을 중심으로 연막 소독을 집중 실시할 방침이다.


또 공수의, 동물위생시험소, 청도축협 등 유관기관과 공동 방역 체계를 강화하고, 거점 소독 시설에 약품과 방역 장비를 비축해 긴급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1

▲일반 민가 지역에서 방역활동 모습 제공=청도군

“군민 생명과 재산 지키는 것이 우선"


김하수 청도군수는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책임"이라며 “침수 피해 복구와 감염병 예방, 폭염 대응, 가축 질병 차단까지 모든 분야에서 신속하고 철저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자연재해는 예고 없이 닥치기 때문에 평소 대비가 중요하다"며 “농가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역 활동과 물품 지원도 계속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손중모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