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업계, 법인 회원 감소에 ‘긴장’…美 관세협상 여파 주목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8.08 15:16

올 상반기 255만명·전년비 6.1%↓
파산 신청 급증 영향

법인카드

▲올 상반기 법인 파산 신청건수가 1100건을 돌파하면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사진=챗GPT]

법인카드를 앞세워 실적 개선에 나서던 카드사 전략에 차질이 생기고 있다.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고객 기반이 축소되고 있기 때문이다.




8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업 카드사 9곳(삼성·신한·KB국민·현대·우리·하나·롯데·NH농협·BC)의 법인 회원수는 255만2000명(BC카드 기타 제외)으로, 전년 동기(271만9000명) 대비 6.1% 줄었다. 2023년 상반기(281만1000명)과 비교하면 더욱 낮은 수치다.


NH농협카드(76만3000명→64만5000명), 우리카드(28만3000명→26만4000명), KB국민카드(46만5000명→45만9000명)의 회원수 감소가 전체 수치 하락으로 이어졌다.



법인 회원이 줄어든 이유로는 법인 파산이 꼽힌다. 대법원 법원통계월보에 따르면 올 상반기 법원에 접수된 신청 건수는 1104건으로, 기존 역대 최대치였던 전년 동기 보다 11.85% 늘어났다. 법인 파산 신청건수는 지난해 하반기 930건 수준으로 감소했다가 경기침체를 비롯한 영향으로 다시금 치솟았다.


일각에서는 2분기 법인카드 평균승인금액이 14만3954원으로 6.7% 증가하고, 총 승인금액(58조3000억원)이 5.9% 높아진 점을 들어 당장 관련 실적이 하락전환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연결기준 법인세차감전순이익이 지난해 1분기 47조1000억원에서 올 1분기 62조2000억원으로 30.1% 확대되는 등 기업 경영실적이 개선된 덕분이다.


그러나 올 상반기 법인 신용카드 이용금액(일시불 일반·약 58조8000억원)은 전년 대비 0.8% 증가에 그쳤다. 1년 만에 상승폭이 8분의 1로 꺾이는 등 파도가 밀려오는 셈이다. 2분기 승인건수(4억1000만건)도 0.7% 감소했다.



내수 침체 속 좁아지는 수출길…거래량 축소·대손충당금 증가 우려

업계는 내수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과의 관세협상 여파로 경영난에 시달리는 기업이 많아지는 것을 걱정하고 있다. 매출이 감소하고 원가 부담 가중으로 수익성이 나빠지면 거래량과 규모가 축소될 수 있다는 이유다. 파산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법인카드 사용은 중단된다.


이미 제조 현장은 향후 경기를 부정적으로 예상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업체 2186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는 81로 나타났다. 대기업(89) 보다 중견기업(77)·중소기업(81)의 수치가 낮은 것도 특징이다. 특히 고율의 관세에 직면한 철강·자동차·차부품 업종을 중심으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산업연구원의 조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3분기 전망치는 93으로, 재고를 제외한 전 분야(시황·매출·내수·수출·경상이익·자금사정 등)이 90대를 기록했다. 이들 수치가 100을 넘지 않으면 전분기 보다 사정이 좋지 않을 것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파산 기업들이 미결제 채무를 갚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지면 대손비용 부담이 불어난다. 취약차주 범위가 넓어지는 등 올 상반기 카드사 실적 하락을 야기했던 요소가 더욱 악화된다는 의미다.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법인이 쓰던 카드와 기타 대출에 대한 상환능력이 급락하는 탓이다.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는 것도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 신규 신용공여 기준 강화 등 보수적인 접근방식을 적용하면 경쟁사 대비 신규 고객 확보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가맹 수수료율 인하 등의 여파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악재만 쌓여가고 있다"며 “가계에 이어 법인에서도 취약차주가 많아지면 외형 성장과 내실 다지기 '난이도'가 너무 높아지는 만큼 자체구책 뿐 아니라 정부·금융당국의 지원사격도 필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