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CEO는 DJ나 해라”…월가와 기싸움 이어가는 트럼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8.13 14:56
APTOPIX Trump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월가 대형 은행들과 신경전을 이어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월가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고 주장해왔는데 12일(현지시간)에는 자신의 관세정책을 비판한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를 타깃으로 삼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관세로 수조 달러를 거둬들이고 있으며 이는 미국, 주식 시장, 부를 포함해 거의 모든 것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며 “관세로 상당한 돈이 들어오는 것 말고는 인플레이션이나 다른 문제를 유발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지금처럼 늦은 시점에도 확인됐다"고 썼다.


이어 “소비자들은 관세를 지불하지 않으며 주로 기업, 정부, 그중 상당수가 외국이 이 비용을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하지만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최고경영자(CEO))와 골드만삭스는 정당한 공로를 인정하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오래전부터 시장 반응과 관세에 대해 잘못된 예측을 했고, 그 예측은 다른 것들과 마찬가지로 틀렸다"며 “데이비드는 새 이코노미스트를 고용하거나 그냥 (취미 활동인) DJ로 활동하고 대형 금융기관 경영에는 신경을 안 쓰는 편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이코노미스트는 골드만삭스에서 수석 이코노미스트로 활동하는 얀 하치우스를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측한 하치우스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높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들이 지난 6월까지 관세 비용의 22%를 흡수했지만 과거 사례가 반복된다면 이 비중이 향후 67%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예측됐다.


하치우스는 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물가흐름을 파악할 때 가장 선호하는 지표인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이 올 12월 3.2%(전년 동월 대비)에 달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6월 근원 PCE 가격지수는 2.8%였다.


골드만삭스는 상호관세가 발표됐던 지난 4월에도 보고서를 통해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확률을 기존 35%에서 45%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미국 최대 은행인 JP모건체이스도 이와 비슷한 시기에 미국 경제 침체 확률이 80%에 육박하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FILES-US-EARNINGS-BANKING-GOLDMAN-SACHS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CEO(사진=AFP/연합)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들어 미국 대형 은행들을 향한 비판을 이어왔다. 그는 지난 5일 CNBC와 인터뷰에서 “은행들로부터 매우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며 “이들은 보수단체에도 차별 대우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1기 이후 JP모건체이스가 그에게 계좌 해지를 요구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JP모건 계좌 내) 수억달러의 현금이 있었지만 그들(JP모건)은 20일 안에 다른 은행으로 옮기라고 통보했다"고 했다. 이어 뱅크오브아메리카로 자금을 입금하려다 거절당해 결국 현금을 여러 소규모 은행에 나눠 예치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바이든 행정부 시절 은행 규제 당국은 '트럼프를 파괴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라'는 지시를 받은 후 이행했다"고 주장했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정치적인 이유로 고객에게 금융 서비스 제공을 거부하는 대출 기관을 제재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지난 7일 서명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과 다른 견해를 가진 경제 전문가를 공격한 것은 이번이 두번째다. 그는 지난 1일 고용 상황이 석 달 사이 크게 나빠졌다는 통계가 발표되자 “숫자를 조작했다"는 이유로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임명한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부 노동통계국장을 해고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