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의사당 956억·집무실 240억…행정수도 핵심사업 탄력
한글문화 교육센터 5억·친환경종합타운 설계비 3억 신규 반영
자율주행·스마트빌리지·정보보호 클러스터 등 미래산업 국비 확보

▲최민호 세종시장은 1일 브리핑을 통해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세종시 관련 사업이 총 1조7,279억 원 규모로 반영됐다고 밝혔다. (제공=세종시)
세종=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세종시 관련 사업이 총 1조7,279억원 규모로 반영됐다. 국회세종의사당 956억원과 대통령 세종집무실 240억원이 대표적이며 한글문화 교육센터, 자율주행버스 고도화, 친환경종합타운 설계비 등 신규 사업도 대거 포함됐다.
최민호 시장이 1일 브리핑에서 밝힌 내역에 따르면 국회세종의사당 건립비 956억원, 대통령 세종집무실 설계비 240억원이 책정됐다. 행정수도 위상을 뒷받침할 핵심 사업 예산이 반영되면서 추진 동력이 강화됐다는 평가다.
이와 함께 국립민속박물관 이전 건립비 154억원, 국립박물관단지 건립비 492억원도 배정돼 문화·행정 기능이 동시에 확충될 전망이다.
이번 예산안에는 한글문화 교육센터 운영비 5억원, 한글문화도시 조성 사업비 40억원이 반영돼 K-컬처 확산과 한글 브랜드화 기반이 마련됐다.
생활 인프라와 관련해선 친환경종합타운 설계비 3억원, 운전면허시험장 설계비 9억원, 하수관로 정비 6억 원이 신규로 포함돼 시민 생활 편의와 환경 개선 효과가 기대된다.
미래 먹거리 분야에서도 다수의 예산이 반영됐다. 자율주행버스 레벨4 고도화 15억원, AI 기반 민원 자동처리 8억원, ICT 축사악취 저감·친환경 방제 실증 10억원, 충청권 정보보호 클러스터 구축 20억원 등이다. 첨단 교통·스마트 행정·사이버보안 등 신산업 전반에 국비 지원이 이어지면서 세종시가 '미래전략수도'로 도약할 토대가 마련됐다.
광역 교통 인프라 예산도 대거 확보됐다. 세종~청주 고속도로 1,023억원, 세종~안성 고속도로 278억원, 부강역~북대전IC 연결도로 설계비 57억원, 도시형 교통모델 구축 75억원이 책정돼 충청권과의 연계성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세종시는 국회 심의 과정에서 이번 예산이 감액되지 않도록 정치권과 협력을 강화하고 추가 확보를 위한 신규 사업 발굴에도 나설 계획이다.
최민호 시장은 “시민과 정치권, 공직자의 노력으로 주요 사업 예산이 대거 포함됐다"며 “행정수도 완성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국회 심의 단계에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