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억원 유상증자 나선 카오페이손보…“킥스 지속적으로 개선”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01 17:52
카카오페이손해보험 CI

▲카카오페이손해보험 CI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나선다고 1일 밝혔다. 재무건전성 확충을 통한 자본 관리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신주 2000만주를 주당 5000원에 발행하는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한다. 100% 지분을 가진 모회사 카카오페이가 전액 출자한다. 이번 유상증자로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의 자본금은 2000억원에서 3000억원으로 늘어난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2021년 최초 법인을 설립할 때 1000억원의 자본금으로 시작했다. 2023년 8월에 모회사인 카카오페이가 전액 인수하는 조건으로 1000억원 유상증자를 진행해 자본금이 2000억원으로 불어났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2022년 10월 본격적으로 출범한 국내 최연소 보험사다. 시장에서 입지를 구축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신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비용이 늘면서 적자 폭도 커지고 있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의 실적을 보면, 출범 이후 3년 연속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2022년 -261억원 순손실을 봤고, 2023년 -373억원, 지난해 -482억원으로 적자 폭이 커졌다. 보험부문 손익이 2023년 -346억원에서 지난해 -427억원으로 81억원 줄어들며 전체 적자 확대의 주요 원인이 됐다.




보험 부문 실적을 보면 보험수익은 2023년 55억원에서 지난해 351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같은 기간 보험서비스비용도 375억원에서 747억원으로 크게 불어나면서 보험 보문 손익이 나빠졌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의 지급여력비율(K-ICS)은 2022년 1957.07%, 2023년 4777.18%, 2024년 409.63%, 올해 2분기 214.45%로 점차 줄어들고 있다. 매년 큰 폭으로 낮아졌지만, 현재 금융당국이 권고하는 수준인 130%를 한참 웃돌고 있다.


지급여력비율은 보험사가 가입자에게 보험금을 제때 지급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보험사 건전성을 판단하는 지표 중 하나로 활용된다. 관련 규정상 보험사는 지급여력비율 100% 이상을 유지해야 하고, 올해 3분기부터 금융당국은 130% 이상을 권고하고 있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의 지급여력비율이 널뛰기하는 이유는 새로 생긴 회사라는 특성이 있다. 2022년부터 영업을 시작한 신생 회사여서 초반에 보험 계약이 많지 않았다. 사업이 점점 커지면서 가입자가 늘고 보장해야 할 보험금 규모가 커지면서 지급여력비율도 정상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 관계자는 “유상증자 전에도 지급여력비율은 금융담독원 권고기준을 크게 웃돌고 있었다"며 “이번 증자를 기반으로 사업을 더 성장시키고 손익을 안정화하는 등 디지털 보험의 선순환구조를 강화하여 지급여력비율을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태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