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왼쪽엔 김정은, 오른쪽엔 푸틴…中, 열병식서 ‘반서방 연대’ 과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03 14:17

시진핑, 김정은·푸틴과 함께 열병식 등장
“중화민족, 위협 두렵지 않아”…서방 대항 의지 천명
강대국 강조한 中…괌 킬러·극초음속·차세대 스텔스 등장
트럼프, 북중러 연대에 불만 표출

Russian President Putin on official visit to China

▲(왼쪽부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사진=타스/연합)

중국이 수도 베이징 톈안먼 일대에서 제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 기념 열병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 북한과 중국, 러시아 정상이 66년 만에 한자리에 모이면서 중국이 새로운 국제질서를 만드는 '반(反)서방' 연대의 중심임을 천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나름대로 개인적 친밀감을 쌓았다고 여기는 북한과 러시아 정상이 '친중 행보'를 보이자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이번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전승절) 80주년' 열병식은 현지시간으로 3일 오전 9시(한국시간 오전 10시)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시작됐다.


열병식 시작에 앞서 외빈들은 오전 8시께부터 행사장에 도착했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오전 8시18분께 검은색 방탄 리무진을 타고 베이징 고궁박물관 내 돤먼(端門)에서 내렸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오전 8시26분께 외빈 중 맨 마지막으로 등장했다.



이들 외에 우원식 국회의장,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 등 각국 고위 인사들이 도착했다.


북중러 정상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내외가 고궁박물관 내 돤먼 남쪽 광장에서 외빈을 영접하고 기념촬영을 할 때 나란히 중심에 섰다. 이어 톈안먼 망루(성루)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나란히 함께 걸으며 담소하는 등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톈안먼 망루에는 시 주석과 함께 김 위원장, 푸틴 대통령 등 정상급 외빈 20여명이 올랐다. 시 주석을 중심으로 왼쪽에 김 위원장이, 오른쪽에는 푸틴 대통령이 서면서 1959년 이후 66년 만에 처음으로 북한·중국·러시아(옛 소련 포함) 지도자가 망루 중심에 함께 자리하는 역사적인 장면이 연출됐다.


중국 지도자들로는 원자바오 전 총리를 비롯한 전직 지도부들이 참석했다. 리창 총리와 자오러지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중국의 국회 격) 등 현직 지도부 7명도 모두 참석했다. 다만 후진타오 전 주석과 주룽지 전 총리는 불참한 것으로 보인다.


WW2-ANNIVERSARY/CHINA

▲(왼쪽부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사진=로이터/연합)

리창 총리는 이날 오전 9시께 개막사를 통해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전승절) 80주년' 시작을 선언했다.


열병식은 이어지는 80발의 예포 발사와 국기 게양식으로 본격적인 막을 올렸다. 국기게양을 맡은 호위부대는 중국 국가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톈안먼 광장의 인민영웅기념비에서 게양대까지 행진해 국기인 오성홍기를 게양했다.


시 주석은 이날 연설을 통해 항일전쟁의 의미를 되새기고 평화를 수호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동시에 미국 중심의 서방에 대항하는 의지도 천명했다.


시 주석은 “오늘날 인류는 다시 평화와 전쟁, 대화와 대결, 윈윈 협력과 제로섬 게임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중국 인민은 역사와 인류 문명의 진보라는 올바른 길에 굳건히 서서 평화 발전의 길을 견지하며, 세계 각국 인민과 함께 인류 운명 공동체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중화민족은 권력과 위협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자립하고 강하게 설 것을 굳게 다짐한 위대한 민족"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싱크탱크인 애틀랜틱카운슬 글로벌 차이나 허브의 웬 티 성 연구원은 “시 주석은 상황이 반전됐다는 자신감을 느끼고 있다"며 “중국이 이제 다시 운전석에 앉았다"고 로이터통신에 말했다.


WW2-ANNIVERSARY/CHINA

▲극초음속 미사일 YJ-21(사진=로이터/연합)

시 주석은 이후 무개차에 올라 톈안먼 앞을 지나는 창안제(長安街)에 도열한 부대원들을 사열했다. 이어진 분열식에서는 각 부대가 방진(네모꼴 형태의 진형)을 이뤄 차례로 톈안먼 광장 앞을 행진하면서 중국의 군사력을 과시했다.


이 자리에서 전 지구를 사정권으로 하는 핵 탑재 미사일 둥펑(東風·DF)-5C, 2019년 공개된 DF 41의 개량형으로 추정되는 자어리 미사일 DF-61이 첫선을 보였다. '괌 킬러'로 불리는 DF-26의 개량형인 DF-26D도 등장했으며 '중국판 패트리엇(PAC-3)'으로 알려진 요격 미사일 훙치(紅旗·HQ)-29 등 방공시스템도 공개됐다.


주한미군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및 일본의 SM-3 요격 시스템을 무력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되는 중·단거리 탄도미사일 DF-17, 최대 사거리 1만4000㎞인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DF-41 등도 등장했다.


미 항공모함을 원거리에서 타격할 수 있는 잉지(鷹擊·YJ)-21 극초음속 미사일 등 YJ 계열 미사일, 미국 전역을 사정권으로 하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쥐랑(巨浪·JL)-3 등 JL 계열 미사일도 모습을 드러냈다.


상공에는 젠(殲·J)-20S와 J-35A 등 중국의 차세대 스텔스 전투기들이 비행했다.


이어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 8만마리와 풍선 8만개가 하늘로 날아오르며 전체 행사가 마무리됐다.


이와 관련해 싱크탱크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의 말콤 데이비스 선임 애널리스트는 “서방에서 볼 수 있는 것보다 더 빠르게 첨단 군사 능력을 스스로 개발하고 작전 배치하며,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중국이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China Parade

▲(왼쪽부터) 전승절 80주년 리셉션 행사에 입장하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서기, 김정은 국무위원장(사진=AP/연합)

북한과 러시아 정상은 열병식 이후 열린 전승절 80주년 리셉션 행사에도 참석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베이징 인민대회당에 마련된 전승절 기념 리셉션장에 시 주석, 푸틴 대통령과 나란히 입장했다. 시 주석이 가운데에 섰고 좌우에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동행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열병식이 시작되자 2일(미국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매우 적대적인 해외 침략자로부터 자유를 확보하기 위해 미국이 중국에 막대한 지원과 피를 제공했다는 점을 시 주석이 언급할지 여부가 중대한 문제"라며 “중국이 승리와 영광을 추구하는 과저엥서 많은 미국인들이 목숨을 잃었다"고 적었다.


이어 “그들의 용기와 헌신이 정당하게 예우받고 기억되기를 희망한다"며 “당신(시진핑)이 미국에 대항할 모의를 하면서, 블라디미르 푸틴과 김정은에게 나의 가장 따뜻한 안부 인사를 전해달라"고 덧붙였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