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제명 과기정통부 차관, 국민대에서 양자보안 혁신 간담회 개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05 17:29

국가 보안체계 혁신 위해 산·학·연 협력 확대… 2030년까지 하이브리드 모델 구축


국가 보안체계 혁신 위해 산·학·연 협력 확대… 2030년까지 하이브리드 모델 구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는 류제명 제2차관이 지난 9월 3일 국민대 양자캠퍼스를 방문해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양자보안 혁신을 위한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급속히 발전하는 양자컴퓨터와 고도화되는 사이버 공격 위협 속에서, AI 시대를 뒷받침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국가 보안체계 구축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 앞서 류 차관은 지난 7월 선포된 국내 최초의 '양자캠퍼스' 비전과 의미를 청취하고, 국민대가 자체 개발한 양자내성암호(PQC), 양자보안 모듈, 양자암호통신(QKD)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합한 상용 시연 현장을 참관했다. 국민대 연구진은 △양자암호통신 기반 차량 원격제어 △qSIM 장비와 PQC 연계 △국제망과 연동된 양자암호 통신망 등을 선보이며 양자보안 기술의 융합·확산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옥연 국민대 정보보안암호수학과 교수는 “양자기술은 미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분야"라며 “국민대 양자캠퍼스를 중심으로 정부·학계·산업계가 협력해 글로벌 양자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간담회에서는 삼성SDS와 지큐티코리아가 각각 '양자내성암호'와 '양자암호통신' 기술 동향과 과제를 발표했으며, 통신 3사도 양자보안 기술 개발 현황과 서비스 추진 계획을 공유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산업 현장의 구체적 과제, 확산 전략, 국제 표준화, 글로벌 기술격차 해소 방안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류 차관은 “양자보안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임박한 위협으로, 국가 안보와 산업을 지탱할 핵심 동력"이라며 “2030년까지 국가 인프라에 양자보안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보안 모델을 구축하고, 전문 인력·기업 육성을 통해 보안 패러다임을 혁신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양자 시대 보안은 하루아침에 완성되지 않으며, 지금부터 10년을 준비해야 할 국가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민대는 지난 7월 '양자캠퍼스 선포식'을 통해 정보보안·AI·차세대 통신·미래자동차 등 첨단 역량을 융합한 연구·교육·사업화 플랫폼을 공식화했다. 선포식에는 IBM, IQM, AWS, 오리엔텀 등 글로벌 기업 관계자와 국회 과방위·문체위 소속 의원들이 참석해 협력 비전을 공유했다.


국민대는 앞으로도 양자특화 교육과정 개설, 글로벌 산학 프로젝트 추진, 실증연구 공간 확충을 통해 양자보안 기술 연구와 인재 양성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송기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