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역량 강화와 청렴 의지 다지는 연수회 개최
자동차정비업 지원 범위 확대…조례 전부 개정
의원연구모임, 드론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중간보고회 열려
반부패·청렴교육 및 서약으로 도민 신뢰 다짐
문경 주흘산 케이블카, ‘법정보호종 산양 서식’ 확인 논란
경북도의회, 의정 역량 강화와 청렴 의지 다지는 연수회 개최

▲경상북도의회는 제357회 임시회를 마친 직후인 4일부터 5일까지 경주 힐튼호텔에서 전체 의원을 대상으로 한 2025년 의원연수회를 열었다. 제공-경북도의회
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경상북도의회는 제357회 임시회를 마친 직후인 4일부터 5일까지 경주 힐튼호텔에서 전체 의원을 대상으로 한 2025년 의원연수회를 열었다.
이번 연수는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릴 제32차 APEC 정상회의 준비 상황을 점검하는 일정으로 시작해, 의정활동 역량 강화와 청렴 교육 중심의 내실 있는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특히 국민권익위원회 청렴연수원 안영진 강사의 청탁금지법·이해충돌방지법 강의,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김미정 전문강사의 4대 폭력 예방교육, 방송인 윤형빈 강사의 리더십 특강 등이 이어졌다.
화합 행사 대신 법정 의무교육을 강화한 이번 연수는 '공부하는 의회'로서의 면모를 강조했다. 최병준 부의장은 “청렴은 투명한 경북을 위한 가장 큰 힘"이라며 도민 신뢰를 다짐했다.
자동차정비업 지원 범위 확대…조례 전부 개정

▲이칠구 의원. 제공-경북도의회
경북도의회는 기존의 '환경친화적 자동차 정비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를 전부 개정해 '자동차정비업 지원 조례'로 새롭게 제정했다.
이번 개정은 이칠구 의원(포항3, 국민의힘)이 대표 발의했으며, 그동안 환경친화적 차량 정비업에만 국한됐던 지원을 내연기관 차량을 포함한 전반적인 정비업으로 확대했다.
개정 조례는 △정비시설 개선 △종사자 기술 교육 △친환경 정비 기반 구축 △경영 안정 지원 등을 규정해 도내 정비업계가 변화하는 자동차 산업에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 의원은 “이번 개정을 통해 정비업계가 기술 변화에 선제 대응하고, 도민은 보다 안전하게 차량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의원연구모임, 드론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중간보고회 열려

▲경북도의회 의원연구모임 「경상북도 드론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회」는 4일 도의회 다목적실에서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제공-경북도의회
경북도의회 의원연구모임 '경상북도 드론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회'는 4일 도의회 다목적실에서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용역은 지난 6월 경북연구원에 의뢰해 진행 중이며, 이날 보고회에서는 국내외 드론산업 현황과 해외 정책 사례, 경북의 산업 특성 분석과 활성화 방안이 제시됐다.
임병하 대표의원은 “드론은 경북의 핵심 성장 동력"이라며 연구 결과가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이어지길 당부했다.
연구회는 6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 인력 양성·규제 개선·산업 생태계 조성 등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반부패·청렴교육 및 서약으로 도민 신뢰 다짐

▲경북도의회는 연수회 기간 중 반부패·청렴 교육과 청렴서약식을 열어 의원들의 청렴 의지를 다졌다. 제공-경북도의회
경북도의회는 연수회 기간 중 반부패·청렴 교육과 청렴서약식을 열어 의원들의 청렴 의지를 다졌다.
청렴연수원 강의에서는 이해충돌방지법과 청탁금지법의 사례 중심 교육이 이뤄졌으며, 이어 전체 의원이 서약서에 서명했다.
최병준 부의장은 “청렴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투명하고 공정한 의정활동으로 신뢰받는 의회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문경 주흘산 케이블카, '법정보호종 산양 서식' 확인 논란

▲문경 주흘산 케이블카 상부승강장 부지에서 촬영된 산양의 모습. 제공-환경단체
문경=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문경 주흘산 케이블카 상부승강장 예정지에서 법정보호종 산양이 20여 차례 포착되며 사업 추진에 논란이 커지고 있다.
시민단체와 환경단체가 2개월간 무인센서카메라를 설치해 확인한 결과, 성체와 새끼로 보이는 개체들이 장시간 머무는 모습까지 촬영됐다.
이는 기존 환경영향평가에서 제시한 “산양 서식지 아님"이라는 결론과 상반된다.
문제는 문경시가 진행한 보완조사가 단 13일간, 9대의 카메라만으로 이뤄졌다는 점이다.
더욱이 산양이 담비를 피해 사업지구 내부로 들어오지 않는다는 결론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케이블카와 하늘길 사업을 분리해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로 추진한 “쪼개기 평가" 의혹, 숲가꾸기 사업을 통한 생태자연도 등급 하락 등도 논란을 키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산양은 월악산 복원사업으로 개체수가 늘어나며 주흘산으로 서식지를 확장할 가능성이 크다"며 “정밀 공동조사와 감사원 감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시민단체는 “적자 운영이 우려되는 케이블카 사업을 위해 멸종위기종 서식지를 훼손하는 것은 백두대간 생태축 회복에 역행하는 일"이라며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