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8월 고용 쇼크…9월 ‘빅컷’ 전망 부활했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07 10:31
USA-STOCKS/WEEKAHEAD

▲제롬 파월 연준 의장(사진=로이터/연합)

미국 8월 비농업 신규 고용이 크게 꺾이자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이달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기정사실화하는 가운데 '빅컷'(0.5%포인트 금리 인하) 기대감마저 되살아나고 있다.




7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현재 연방기금금리(FFR) 선물시장은 연준이 오는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4.25~4.5%에서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89.0%로 반영하고 있다. 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제로'(0)로 반영했다.


50bp(1bp=0.01%포인트) 인하 확률 또한 11%로 나타나고 있다. 8월 고용보고서가 발표되기 전까지만 해도 빅컷 가능성은 시장에 반영되지 않다.



앞서 미 노동부는 8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2만2000명 증가했다고 지난 5일 발표했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7만5000명)를 크게 밑돈 수치다.


8월 실업률은 4.3%를 기록해 전문가 예상치(4.3%)와 부합했다.




시간당 평균임금 상승률은 전월 대비 0.3%, 전년 동월 대비 3.7.0%로 각각 상승해 시장 전망(0.3%·3.7%)과 비슷했다.


아울러 7월 신규 고용은 7만9000명으로 6000명 상향 조정된 반면 6월 수치는 2만7000명 증가에서 1만3000명 감소로 하향됐다. 이에 따라 6월 고용은 2020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6∼7월 신규 고용이 부진했던 데 이어 8월 들어서도 고용 증가 폭이 2만명 초반대에 머문 것은 미국의 고용 사정이 지속해서 냉각되고 있음을 가리킨다.


KPMG의 다이앤 스웡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5bp 인하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8월 고용 보고서는 노동 시장의 균열이 점점 더 커지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음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다만 연준이 실제 빅컷에 나설지 장담하기엔 시기상조라는 의견도 나온다. 미국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고 있어서다. 연준으로선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이라는 이중책무의 균형을 생각할 수밖에 없다.


오스탄 굴스비 미국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 수치가 더 낮을수록 노동 시장에 집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이달부터 12월까지 총 세 차례에 걸쳐 금리를 25bp씩 인하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페드워치에 따르면 올 연말까지 기준금리가 3.50~3.75%로 인하될 가능성이 65%에 달한다.


모건스탠리의 마이클 가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것(8월 고용보고서)만으로 9월 빅컷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연준이 매 FOMC 회의당 25bp씩 인하해야 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8월 비농업 보고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을 전격 경질한 이후 나온 첫 번째 보고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일 미국의 고용 상황이 최근 3개월 사이에 상당히 악화했음을 보여주는 통계치를 발표하자 해당 통계가 조작됐다며 전임 행정부가 임명했던 맥엔타퍼 국장을 해임하고 보수 성향 싱크탱크인 헤리티지 재단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E. J. 앤토니를 후임 국장으로 지명했다.


현재 노동통계국장은 빌 비아트로우스키 부국장이 대행을 맡고 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