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미래에너지포럼] 김재경 연구위원 “석유공사 LPG 저장시설, 암모니아 비축시설로 전환해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17 11:00

인천미래에너지포럼 ‘청정수소 및 암모니아 비축정책 방향’ 주제발표

“암모니아, 단순 운반체 넘어 청정연료…국제 교역 주도 전망”

“2050년 국내 수소 수요 최대 2790만톤…비축·가격경쟁력 시급”

s

▲김재경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16일 인천 송도 홀리데이인송도에서 열린 '2025 인천미래에너지포럼'에서 '청정수소 및 암모니아 비축정책 방향'으로 주제발표하고 있다. 사진= 유병욱 기자

청정수소·암모니아 비축을 위해 기존 석유 인프라를 전환해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석유공사의 LPG 저장시설을 암모니아 저장시설로 활용하자는 방안이 핵심이다.




김재경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천광역시 주최, 인천테크노파크·인천연구원·한국남동발전·한국석유공사·한국가스기술공사·한국수소연료전지산업협회·인천대학교(혁신연구센터)·에너지경제신문 주관, 산업통상자원부 후원으로 16일 인천 송도 홀리데이인송도에서 열린 '2025 인천미래에너지포럼'에서 '청정수소 및 암모니아 비축정책 방향'으로 주제 발표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2011년 롯데정밀화학이 암모니아 생산을 중단한 이후 우리나라는 암모니아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며 “국내 공급안보 차원에서 비축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초기 인프라 구축비용을 최소화하려면 한국석유공사가 보유한 LPG 저장시설을 암모니아 저장시설로 전환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 청정수소 수요가 급격히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연료전지와 수소터빈 같은 발전 부문, 철강·석유화학·시멘트 산업 등 제조업 부문, 수소차를 포함한 수송, 화학적 전환(CCU)까지 합치면, 2050년에 국내 필요한 수소량은 2740만~2790만톤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현재 국내 에너지 소비 구조와 비교했을 때 결코 적지 않은 규모로, 장기적인 수급 전략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김 연구위원은 암모니아가 단순한 수소 운반체를 넘어 독자적인 청정연료로서 직접 활용될 수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국제 수소 교역에서 암모니아가 중심적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크다"며, 청정수소와 청정암모니아의 수요 확대와 함께 양자의 운송 모드가 긴밀히 연계돼 글로벌 거래 네트워크가 형성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국제 공급망은 이미 암모니아를 중심으로 재편되는 모습이다. 김 연구위원은 “현재 발표된 청정수소 수출 프로젝트의 약 80%가 암모니아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2030년까지 체결된 공급계약 200만톤은 암모니아로 이송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 중 약 140만톤, 암모니아로 환산하면 약 770만톤 규모가 아시아 지역으로 수출될 전망이다.


세계적 수요 전망도 제시됐다. 그는 국제에너지기구(IEA) 자료를 인용해 “2050년 세계 암모니아 수요는 2억2500만톤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특히 발전 및 선박용 연료 수요 확대가 이러한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흐름은 한국에도 중장기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 필요성도 강조됐다. 김 연구위원은 탄소가격제(세금·배출권거래), 차액계약(CCfDs), 장기공급계약, 산업별 보조금 등을 통해 청정수소와 암모니아의 경제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시장 위험을 줄이려면 생산 단계부터 지분 투자와 다양한 협력지분 확대를 통해 가격 하락을 유인해야 한다"며 “궁극적으로는 밸류체인 전반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수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