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주문 활성화…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 강화
‘산지서 배송’ 오더투홈 통해 추석 대규모 물량 대응
멀티 채널 기반 퀵커머스, 연내 80곳까지 적용 확대
주류·공동구매 이어 가전까지 픽업 대상 제품군 확장

▲이마트의 모바일 앱 기반 산지직송 서비스 '오더투홈' 관련 이미지. 사진=이마트
비대면 쇼핑 확산으로 오프라인 유통업계의 입지가 쪼그라드는 가운데, 이마트가 공격적으로 모바일 앱 기반의 서비스를 고도화하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자사 앱을 통한 산지 직송·퀵커머스·픽업 서비스 등을 중점 추진하며 온·오프라인을 연계하는 옴니채널을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23일 이마트에 따르면, 자체 모바일앱 내 산지 직송 서비스 '오더투홈'을 활용해 대규모 명절 선물세트 수요 대응에 나선다. 지난 4월 첫 선보인 이 서비스는 앱에서 상품 주문 시 산지에서 집으로 직배송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마트 관계자는 “오더투홈의 특징은 중·대용량의 신선식품 전문이라는 점과 직배송이 가능하다는 점"이라며 “특히, 산지 직송 선물세트의 생산 및 배송 구조와 비슷해 올 추석에 빠른 적용이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이마트는 발주·물량관리·일괄 배송이 가능한 오더투홈 특장점을 바탕으로, 올 추석 산지직송 선물세트 상품을 기존의 약 2배인 40여종까지 늘렸다. 과거에는 점포별·소규모 채널별로 소량 발주 방식으로 산지 직송 선물세트를 운영했지만, 오더투홈 도입으로 전국 단위 주문량을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됐다는 회사의 설명이다.
모바일 주문 활성화를 위해 퀵커머스 강화도 본격화하고 있다. 이마트는 외부 플랫폼과의 합종연횡도 불사할 만큼 배송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는 추세다. 지난해 11월에는 우아한형제들의 배달 플랫폼 '배달의민족'에 입점하며 퀵커머스 서비스에 시동을 걸었다.
이달부터는 SSG닷컴(쓱닷컴) 앱을 통해 이마트 상품 주문 시 1시간 이내 배송해주는 '바로퀵' 서비스도 시작하며 멀티 채널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기세에 힘입어 이마트는 현재 61개 점포에서 제공하는 퀵커머스 지점을 연내 80여개까지 늘린다. 즉시배송 상품 수도 현 6000개에서 1만개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마트는 자사 앱을 통해 주문 시 고객이 신속하게 물건을 받아볼 수 있는 픽업 서비스 카테고리도 지속 강화하고 있다. 앞서 이마트 앱 내 선보인 와인그랩(주류 스마트오더)·오더픽(공동구매 픽업)에 이어, 최근에는 디지털 가전 카테고리까지 픽업 영역을 넓혔다.
지난달부터 운영 중인 '디지털 그랩'이 대표적이다. 앱에서 가전제품을 구매해 할인점·트레이더스 등 오프라인 점포에서 제품을 수령할 수 있는 방식이다. 원하는 대로 픽업 매장과 시간도 지정할 수 있어 고객 편의성을 높인 것이 장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