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설계 프랑스 선급 인증 획득…11.5만톤 원유운반선 적용
암모니아 기반 수소·질소 분리 공급 전기생산 핵심장비 국산화

▲(왼쪽부터) 김동주 삼성중공업 기술영업팀장과 자히드 오스만 MISC 최고경영자(CEO), 닉 포터 AET CEO, 장해기 삼성중공업 기술개발본부 부사장, 알렉스 그렉 스미치 프랑스 선급(BV) 선임부사장, 드라고 핀테릭 BV 부사장이 '암모니아 기반 수소 연료전지 추진 원유운반선' BV 기본설계 인증(AiP) 수여식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삼성중공업
삼성중공업이 수소 연료전지 선박 개발과 기술 고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프랑스 선급 BV로부터 암모니아 기반 수소 연료전지 추진 원유운반선의 기본설계 인증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암모니아 기반 수소 연료전지는 크래킹(Cracking) 기술을 이용해 암모니아를 수소와 질소로 분리하고, 분리된 수소를 연료전지에 공급한 후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번 인증은 11만5000톤급 원유운반선에 적용됐다. 저온에서 작동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를 탑재해 빠른 시동이 가능하며 내구성도 우수하다.
아울러 5메가와트(MW)급 대용량 암모니아 크래킹 장비 2대와 2MW급 수소 연료전지 6대를 갑판과 엔진 룸에 분산 배치해 안전성을 높였고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했다.
삼성중공업은 수소 연료전지 선박에 국내 업체인 파나시아의 크래킹 장비와 빈센이 개발한 연료전지를 적용해 핵심 장비를 국산화했다.
특히, 말레이시아 국영 선사 MISC와 프랑스 선급 BV가 선박 개발에 참여해 선박 운용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경제성 평가를 진행하게 된다. 기술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상용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삼성중공업은 기대했다.
장해기 삼성중공업 기술개발본부장(부사장)은 “연료전지는 차세대 친환경 선박의 중요한 추진 장치"라며 “삼성중공업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수소 모빌리티 기술과 제품 개발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