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부터 의약품 100% 관세…“미국 내 공장 건설 중이면 예외”
대형트럭 25%, 주방·욕실 가구 50%, 소파 등 가구 30% 관세도 시행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조사 후 ‘품목별 관세’ 조처
반도체 관세도 곧 발표될 듯…‘韓 최혜국 대우’ 약속 미지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1일부터 외국에서 수입되는 의약품, 대형 트럭 등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의약품 100%, 대형 트럭 25%, 주방 및 욕실 가구 50%, 소파 등 천이나 가죽이 씌워진 가구 30% 등의 관세가 적용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2025년 10월 1일부터 모든 브랜드 또는 특허 의약품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기업들의 의약품 제조 시설이 미국에 “건설 중"일 경우 관세는 예외된다고 밝혔다.
이어 “건설 중은 시설이 착공되거나 현재 지어지고 있는 상황을 뜻한다"며 “건설이 시작되면 이들 회사의 의약품엔 관세가 없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제약회사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의약품 관세 부과를 앞두고 대미 투자를 잇따라 발표한 바 있다.
영국 제약회사 GSK는 지난 16일, 5년간 미국 내 연구개발(R&D)과 공급망 인프라에 30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고, 미국 제약회사 일라이릴리도 같은 날 미국 버지니아주에 50억달러를 들여 제조시설을 건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존슨앤드존슨과 아스트라제네카도 각각 550억달러, 500억달러르 투자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다른 게시물에서 “2025년 10월 1일부터 모든 주방 수납장, 욕실 세면대 및 관련 제품에 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겉천이 쓰워진 가구에 대해서도 3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겉천이 씌워진 가구는 천이나 가죽으로 씌워진 소파 등을 일컫는 것으로 보인다.
이어 “그 이유는 다른 해외 국가들이 이러한 제품을 미국에 대량으로 쏟아냈기 때문"이라며 “이는 매우 불공정한 관행이지만 국가 안보 및 기타 이유로 우리의 제조 과정을 보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울러 “우리의 위대한 대형트럭 제조사들을 불공정한 외부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2025년 10월 1일부터 외국산 대형 트럭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에 따라 피터빌트, 켄워스, 프라이트라이너, 맥 트럭스, 다른 업체들 등 우리의 위대한 대형트럭 제조회사들은 외부 방해의 맹공으로부터 보호받게 될 것"이라며 “여러가지 이유로 우리의 트럭 운전사들이 재정적으로 건실하고 강건할 필요가 있지만, 다른 무엇보다 국가 안보 목적으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대미(對美) 수출을 하고 있는 한국의 관련 업계에 영향이 있을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관세 부과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관세 부과 등 적절한 조치를 통해 대통령에게 수입을 제한할 권한을 부여한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시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4월 의약품, 중·대형 트럭과 그 부품 등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를 착수했다. 수입 가구에 대한 조사는 지난 8월 시작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철강 및 알루미늄,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구리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고 있고 목재, 반도체, 의약품, 트럭, 핵심 광물, 상업용 항공기 및 제트 엔진, 무인항공시스템, 폴리실리콘, 풍력 터빈에 대해서도 부과하겠다고 예고해왔다.
그는 이달 초 반도체와 관련해 “아주 가까운 시일 내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반도체에 대한 조사도 지난 4월 시작됐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세가 곧 발표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의 경우 지난 7월 무역협상을 통해 의약품과 반도체에 대해 최혜국 대우를 받기로 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한국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 더 나쁘게 대우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한미 양국이 3500억달러 대미 투자 규모를 두고 입장차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러트닉 장관의 이러한 약속이 지켜질지 미지수다. 특히 자동차 관세의 경우 일본과 유럽연합(EU)은 관세율이 15%로 인하됐지만 한국은 여전히 25%가 적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