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PL’ 옐로우 꺼낸 이마트24, 노브랜드 중복 해소 ‘과제’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30 13:26

‘가격·트렌드·건강’ 겨냥 신규 브랜드 출시, 기존 PL 흡수

지난해 판매 재개 ‘노브랜드’와 가성비 상품성 충돌 우려

중·대형 용량 노브랜드 상품의 4분의 1 용량으로 ‘차별화’

모델들이 오는 10월 1일 이마트24가 출시하는 신규 자체 브랜드(PL) '옐로우' 상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이마트24

▲모델들이 오는 10월 1일 이마트24가 출시하는 신규 자체 브랜드(PL) '옐로우' 상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이마트24

편의점 이마트24가 새로운 자체 브랜드(PL)를 출시하면서 상품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낸다.




가격·트렌드·건강을 다잡는 통합 PL로 키운다는 전략으로, 가성비 측면에서 지난해부터 매장 내 재도입한 '노브랜드'와의 차별화에 성공할지 관심이 쏠린다.


30일 이마트24에 따르면, 10월 1일 신규 PL인 '옐로우(Ye!low)'를 출시한다. '좋은 품질과 낮은 가격'이라는 브랜드 콘셉트에 맞춰 △가성비 상품 △새로운 상품(색다른 재료 공법 등을 앞세운 트렌드 상품) △건강한 상품 3개 주제에 맞춰 라인업을 넓히는 것이 골자다.



기존 PL 상품 모두 옐로우 브랜드로 대체된다. 이마트24는 가성비 PL로 '아임이(I'm e)'·'상상의끝' 등의 PL을 운영해 왔지만, 상품성 특징이 중복됨에 따라 통합 브랜드 출범으로 이를 해소하려는 것이라 업계는 풀이한다. 이에 따라 오는 1일 기존 아임이 과자·제지류·간편식품·유제품 등 10종, 신상품 믹솔로지 음료 3종 모두 옐로우 이름을 단 채 선보인다.


최근 이마트24는 본업 경쟁력 확대를 위해 과감한 PL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고물가 기조 속 가성비 있는 PL 상품에 대한 소비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차별화된 PL 상품을 내놓는 것이 매출 증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문제는 매장 내 판매 중인 이마트 할인점의 PL인 노브랜드와의 상품성 중복 우려다. 아임이·상상의끝 등의 통합 브랜드로 옐로우를 내놓았지만, 가성비 포지션의 노브랜드와 PL 특성이 겹치는 탓이다. 같은 기업의 다른 제품이 서로 판매를 깎아먹는 것을 우려하는 카니발리제이션(자기 잠식) 가능성도 떠오르면서,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때 판매가 중단됐던 노브랜드 상품이 이마트24 매장에 재도입 된 것은 지난해 1월부터다. 이마트와의 시너지 창출을 이유로 초기 시범 운영을 거쳐 그해 4월부터 판매가 본격화됐다. 이는 노브랜드 상품 판매를 기본으로 하는 '로열티 가맹모델'로, 이후 출점하는 신규점의 경우 일괄 적용돼 왔다.


이마트24는 기존 이마트위드미에서 현재 사명으로 바꾼 2017년 당시에도 노브랜드 상품을 판매했다. 다만, 노브랜드 전문점과의 상품 중복 문제로 이마트24는 2018년 노브랜드 상품을 단계적 철수했다. 이를 대신해 내놓은 것이 바로 아임e였지만,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시장 평가가 뒤따랐다.


6년 만에 노브랜드 상품을 재도입하면서 이마트24가 내세운 차별점은 소용량 중심의 편의점 업태에 맞게 상품 규격을 최적화한 것이다. 실제 기존 중·대형 용량인 노브랜드 인기 상품의 25% 수준 용량으로 리뉴얼한 '노브랜드 ⓝ24' 라인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자칫 노브랜드 전문점과 다시 상품 중복 문제가 불거지는 것을 방지한 조치로 업계는 풀이한다.


판매 재개 두 달 만에 100호점을 넘은 노브랜드 도입 매장 수도 빠르게 늘고 있다. 올 초에는 1000개점을 달성했다. 기세에 힘입어 회사는 연내 2500개, 내년 4000개까지 노브랜드 상품 판매 점포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마트24 관계자는 “현재 노브랜드 상품을 도입한 점포는 2100여곳"이라며 “노브랜드는 이마트의 PL이지만, 이마트24에서도 가성비 차별화 상품의 한 축으로 지속 유지된다"고 설명했다.



조하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