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판매 시장점유율 2위·0%대 연체율 유지
연이은 신상품 출시로 영업수익 확대 가속화
▲삼성카드.
삼성카드가 이번에도 1위 수성에 성공했다. 업계 최상위권의 연체율 관리 능력을 보유한 가운데 우량 회원 확대로 본업 경쟁력을 끌어올린 덕분이다. 대형 파트너사와 손잡고 사업자표시신용카드(PLCC)를 출시하는 등 수익성 향상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1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삼성카드는 올 3분기 161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6.9% 증가한 수치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4.2% 감소했으나, 2위 신한카드(1338억원)가 22.9% 하락하면서 네 분기 연속 1위를 지킬 수 있었다.
삼성카드는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와 취약차주 상환 능력 저하에 따른 대손비용 증가를 비롯한 악재 속에서도 지난해(6650억원) 수준의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영업수익은 지난해 1분기 1조원, 올 3분기 1조500억원대에 진입하는 등 증가하고 있다. 개인 신용카드 사용가능 회원수(약 1178만9000명)이 지난해말 대비 29만명 이상 늘어난 것이 실적에 기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간판스타' 앞세워 신판 점유율 상승세
삼성카드의 스테디셀러 '탭탭O'가 해외 1.3% 적립 추가에 힘입어 신용카드 플랫폼 카드고릴라가 집계한 분기별 인기 신용카드 랭킹에서 7년 만에 1위에 오르고, △삼성카드&마일리지 플래티넘(스카이패스) △탭탭 디지털 △삼성 iD 심플이 탑 10 중 4개를 휩쓸었을 정도로 고객들의 관심을 받은 덕분이다.
최정욱 하나증권 애널리스트는 삼성카드의 개인 신용판매 시장점유율(18.9%)이 1년 만에 0.8%포인트(p) 상승한 원인으로 자동차 할부리스와 의료서비스 취급고가 10% 이상 높아진 것을 꼽았다. 온라인과 여행 부문 취급고 확대도 힘을 보탰다.
이를 토대로 2023년말부터 지난해말까지 현대카드에 내줬던 신판 2위를 되찾았고 신한카드와의 격차도 좁히는 모양새다.
비용관리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4분기와 올 2분기 5000억원을 넘겼던 판매관리비를 4879억원으로 낮췄고, 신규 조달금리(3분기 2.79%)도 하향 안정화되고 있다.
1개월 이상 연체율은 0.93%로 전분기 대비 0.05%p 개선됐다. 신규 연체율은 0.5% 수준을 유지했다. 올 상반기를 지나며 업계 전반적으로 연체율 관리가 이뤄지고 있으나, 0%대를 기록하는 기업은 현대카드를 포함한 소수에 불과하다.
▲'스타벅스 삼성카드' 이미지
삼성카드는 최근 신상품을 쏟아내고 있다. 금융사(토스)·호텔(호텔신라)·공공기관(한국철도공사)·중고거래 플랫폼(번개장터)·해외 결제사(JCB) 등 다양한 분야의 파트너들과 협업한 결과다.
특히 오랜기간 현대카드의 동맹이었던 스타벅스를 끌어들였다. '스타벅스 삼성카드'는 전월 실적에 따라 1만원당 최대 별 5개(월 최대 50개) 적립이 가능하다. 스타벅스를 제외한 국내외 가맹점에서도 이용금액 3만원당 별 1개(월 최대 100개) 적립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데이터·인공지능(AI) 등 미래 성장을 위한 노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업계를 둘러싼 환경이 녹록치 않은 만큼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솔루션을 찾겠다는 것이다.
최 애널리스트는 “조달비용과 대손비용이 소폭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자수익과 수수료수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손익은 안정적인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새도약기금으로 보유 중인 7년 이상, 5000만원 이하의 연체채권 2200억원 가량이 매각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매각 직후 관련 매각익이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도 큰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