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우유 제품에 알루미늄 제거한 멸균팩 적용
산소 차단 성능은 그대로…적용 범위 확대될 듯
▲왼쪽은 재활용이 어려웠던 기존 멸균팩, 오른쪽은 재활용이 가능해진 멸균팩. 사진제공=SIG
▲서울우유 '유기농멸균우유(200ml)' 제품. 사진제공=서울우유협동조합
서울우유가 국내 최초로 재활용이 가능한 멸균우유팩을 제품에 도입한다. 기존 멸균팩은 사실상 재활용이 불가했으나, 알루미늄 층을 완전히 제거한 포장재를 제품에 적용해 기존 대비 최대 10배 높은 재활용률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3일 서울우유협동조합은 국내 최초로 '알루미늄 없는 멸균팩'(SIG Terra Alu-free+Full barrier)을 제품 포장재로 사용한다고 밝혔다. 국내 유업계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멸균팩을 사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업계에 따르면 기존 멸균팩은 사실상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기존의 멸균팩은 산소 차단을 위해 종이와 폴리머, 알루미늄의 3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덕분에 상온 유통과 보관이 가능해 유통기한이 길고 가격이 저렴하지만, 알루미늄이 섞여 있다보니 재활용은 어려웠다.
서울우유가 이번에 새롭게 적용한 친환경 멸균팩은 기존의 멸균팩과 달리 알루미늄층을 완전히 제거하고, 국제산림관리협의회(FSC) 인증 종이와 초박형 폴리머 코팅만으로 설계됐다. 덕분에 일반팩으로 분류돼 냉장종이팩과 동일하게 분리 배출할 수 있다.
이번 멸균팩은 스위스의 식음료 포장재 전문기업 SIG가 개발한 제품이다. 국내에는 지난 2001년 진출했으며, 11개 식음료사의 70여개 브랜드와 협력 중이다.
SIG 측은 “새롭게 선보인 멸균팩은 알루미늄 층을 제거했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산소 차단 성능을 유지해 냉장 유통 없이도 상온에서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다"며 “이번 서울우유와의 협업은 SIG의 지속가능한 혁신 포장재가 국내 시장에 처음 상용화된 사례로, 향후 적용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서울우유는 '유기농멸균우유(200ml)' 제품부터 친환경 멸균팩으로 생산하고, 추후 적용 제품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친환경 가치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에게는 보다 폭넓은 선택지를 제시하고, 유업계 전체가 친환경 포장재를 적용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데도 기여할 방침이다.
서울우유는 지난 2021년 국내 유업계 최초로 조합장 직속의 ESG 의사결정기구인 'ESG위원회'를 신설했다. 특히 자원순환의 일환으로 플라스틱 사용량 저감을 위해 제품 패키지 혁신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실제로 '유기농우유(700ml)' 제품은 재생원료(r-PET) 플라스틱병을 사용하고, 떠먹는 요구르트 '요하임' 제품에는 기존 라벨을 제거한 무라벨 패키지를 적용했다. 이와 함께 종이 스트로우 사용, 캡스티커 제거, 수분리 라벨 적용 등 친환경 포장재 적용 품목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문진섭 서울우유협동조합 조합장은 “전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른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가치 소비 트렌드에 발맞추기 위해 국내 최초로 '알루미늄 없는 멸균팩'을 새롭게 도입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우유로 세상을 건강하게'라는 경영이념에 따라 '친환경'과 '최고의 품질'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동시에 잡는 다양한 ESG 활동을 펼쳐 지속 가능한 유업 모델 구축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