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 무탄소 스팀 공정 구축 남해화학과 ‘악수’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03 15:00

여수공장 LNG스팀 대신 남해화학 무탄소스팀 도입
2027년 실거래 목표, 연간 7만톤 탄소 감축 기대

GS칼텍스 남해화학 무탄소 스팀 계약

▲허세홍(왼쪽) GS칼텍스 사장과 김창수 남해화학 사장이 10월 31일 서울 강남구 GS타워에서 남해화학과 '무탄소 스팀 도입·공급계약'을 체결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GS칼텍스

GS칼텍스가 남해화학과 손잡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스팀을 만드는 공정을 구축하는데 본격적으로 나선다.


GS칼텍스는 지난달 31일 서울 강남구 GS타워에서 남해화학과 '무탄소 스팀 도입·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양측이 지난해 12월 해당사업 추진 업무 협약을 체결한데 이은 실행 조치다.


스팀은 기체와 액체 사이의 형태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특징을 띤다. 원유 정제를 비롯한 여러 산업 공정에서 터빈 작동과 원료 압축, 화학반응 속도 조절 등에 쓰인다.



GS칼텍스의 무탄소 스팀 도입·공급 사업은 전남 여수산업단지 내 남해화학의 유휴 황산공장을 재가동해 생산한 무탄소 스팀을 GS칼텍스 여수공장이 도입해 기존 액화천연가스(LNG) 원료 스팀을 대체하는 사업이다.


GS칼텍스가 원유 정제 부산물인 유황을 남해화학에 공급하고, 이를 원료로 남해화학이 황산을 생산하면서 발생하는 강력한 발열 반응으로 무탄소 스팀을 생산해 GS칼텍스에 제공한다. GS칼텍스는 이번 사업으로 기존 LNG 연료 스팀 생산 대비 연간 약 7만톤(tCO2eq)의 탄소 감축을 기대하고 있다.



양사는 2027년 실거래를 목표로 내년 초 스팀 배관 건설과 남해화학 황산공장 개조, 황산탱크 신규 건설 등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유휴설비의 단순 재가동을 넘어 여수산단 기업들이 상호 협력해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을 창출한 사례라고 GS칼텍스는 강조했다.


GS칼텍스는 미래 사업을 유관부서와 함께 논의해 의사 결정하는 전사 협업 회의체 '비즈니스 카운실'에서 여수공장 에너지원의 저탄소 전환을 검토하는 도중 원유 정제 부산물인 유황을 원료로 하는 황산공장을 건설하면 탄소 배출 없이 스팀 생산이 가능한 기회를 발견했다. 이후 여수산단에 함께 위치한 남해화학의 유휴 황산공장을 활용한 협업 방안을 마련했다.


양사는 원료 공급과 스팀 생산·공급의 두 가지 비즈니스가 맞물린 복잡한 상황이었지만 탄소 감축과 유휴 설비 재가동을 통한 신사업 개발이라는 양 사의 이해관계가 맞아 협력을 추진했다.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은 “이번 협력은 기업들이 서로의 강점을 연결하여 탄소 감축의 새로운 기회를 함께 찾아낸 좋은 사례이다"라며 “앞으로 양 사가 더 나은 산업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는 든든한 파트너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승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