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11일 ‘2025 원주 삼토페스티벌’ 열려…4일간 도농 화합의 장 열려
11일 제30회 농업인의 날 국가기념식으로 대미 장식
                                        
  ▲원주 삼토페스티벌 포스터. 제공=원주시
원주=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농업인의 날이 탄생한 도시 원주에서 올해 국가기념행사가 원주삼토페스티벌과 함께 열린다.
농촌지도자원주시연합회가 주최하는 '2025 원주 삼토페스티벌'이 8일 개막해 11일 오후 1시 30분 제30회 농업인의 날 국가기념식을 끝으로 마무리된다.
이번 삼토페스티벌은 '농업의 뿌리! 100년의 미래를 향하다'를 슬로건으로 도농 상생 축제의 새 지평을 연다.
올해로 18회를 맞는 삼토페스티벌은 매년 농업인의 날(11월 11일)을 기념해 열리는 농촌문화관광형 축제로, 올해는 농업인의 날 국가기념행사가 함께 열리며 전국적 관심을 모으고 있다.
농업인의 날 지정의 역사적 출발지인 원주에서 국가 단위 기념식이 개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농업인의 날'이 원주에서 시작된 배경에는 지역 농민들이 만든 독특한 농업철학 '삼토사상'에 있다. 이 사상은 “사람은 흙에서 태어나 흙에서 살다가 흙으로 돌아간다"는 농업인의 삶을 상징한다.
  ▲1968년 제5회 원성군 농민의 날 모습. 제공=원주시
  ▲1969년 제6회 원성군 농민의날 행사 모습. 제공=원주시
1964년 당시 원성군(현 원주시) 지역의 농사개량구락부(현 농촌지도자원주시연합회)가 이 사상을 바탕으로 11월 11일 오전 11시(흙 토(土)가 세번 겹친다는 의미) 제1회 '원성군 농민의 날' 행사를 개최한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이후 행사가 해를 거듭하며 확산됐고, 1980년대부터 원주시는 정부에 '농업인의 날' 제정을 지속적으로 건의해 왔다. 그 결과 1996년 11월 11일이 국가기념일로 공식 지정되면서 농업인의 날은 전국적 기념일로 자리매김했다. 원주시는 이를 기념해 2002년 단관근린공원(옛 원성군농민회관 터)에 농업인의 날 제정 기념조형물도 건립했다.
  ▲대형가마솥 비빔밥 나눔 행사도 진행한다. 제공=원주시
올해 축제는 8일 오후 6시 댄싱공연장 메인무대에서 열리는 개막식으로 문을 연다. 축하무대에는 록밴드 국카스텐과 테너 유태평양이 출연해 분위기를 끌어올릴 예정이다. 이어 팔도 가마솥 비빔밥 나눔, 1111m 오색 가래떡 뽑기 등 '농업인의 날 상징 이벤트'가 축제의 흥을 더한다.
새롭게 신설된 전국 청소년 민요경창대회, 확대 개최되는 전국 우리 농산물 요리 경연대회 등은 삼토페스티벌을 명실상부한 농촌문화관광형 전국 축제로 자리매김시키기 위한 핵심 프로그램으로 마련됐다.
9일과 10일에는 도민 참가형 '삼토노래자랑'과 36사단 군악대, 초청 가수가 함께하는 삼토콘서트가 관람객을 맞는다. 프린지 무대에서는 농산물 알뜰 경매, 트롯쇼, 국악·뮤지컬 갈라쇼 등 상시 공연이 이어진다.
축제의 하이라이트인 '제30회 농업인의 날 국가기념식'은 11일 오후 1시 30분 메인무대에서 열린다.
이번 국가기념식 지방 개최는 원주의 역사적 기여를 국가 차원에서 공식 인정하는 의미를 가진다. '원주가 만든 날을 대한민국이 공식적으로 원주에 돌려주는 것'이라 평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원주시는 이번 행사를 통해 '농업인의 날 발상지'라는 상징성과 정체성을 전국적으로 재조명한다는 계획이다.
행사장 곳곳에는 △삼토전시관 △강원특별자치도 농산물 홍보관 △농업기계 전시관 △품목농업인연구회관 등을 운영한다. 또한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연자방아 돌리기, 허수아비 경진대회, 팔씨름 대회, 소원지 낟가리 터널 등이 펼쳐진다.
특히 축제 기간 동안 치악산 한우 숯불구이 등 농업인 단체가 제공하는 향토음식이 판매되며, '도심 속 팜파티'를 콘셉트로 한 식도락 행사가 상시 운영된다.
원강수 원주시장은 “삼토페스티벌이 농업인과 소비자가 함께 만드는 축제로 성장해 왔다"며 “올해 국가기념행사를 계기로 전국적 행사로 도약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삼토페스티벌의 백미인 11월 11일을 기념하는 1111m 오색가래떡뽑기 행사 모습. 제공=원주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