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이목 집중된 ‘K-치킨’…“물 들어올 때 노 젓자”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04 16:02

‘젠슨 황’도 홀린 K-치킨…세계인에 눈도장 ‘제대로’
교촌치킨, APEC 공식 후원사…푸드트럭 긴 줄 이어져
깐부치킨 ‘치맥 회동’에 주문 폭주…日·필리핀 SNS 등장

BBQ

▲APEC 기간 BBQ빌리지에서 해외 각국의 정부 관계자 및 참관객들이 BBQ 치킨을 즐기고 있다. 사진제공=BBQ

APEC 교촌

▲APEC 기간 교촌에프앤비가 운영한 푸드트럭에 참관객들이 모여 있다. 사진제공=교촌에프앤비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성공적으로 막을 내리며, 국내 치킨업계에 대한 기대감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그 어느 먹거리보다 글로벌 홍보 효과를 톡톡히 누린 가운데,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는 글로벌 매장의 매출 상승과 출점 가속화를 기대하고 있다.


4일 관련업계에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가 최근 경주 APEC으로 전례 없는 홍보 효과를 누렸다. 국내에서는 물론이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K-치킨'의 인지도는 확실히 굳혔다는 평가다.


여러 치킨 프랜차이즈 중에서도 이번 APEC에서 홍보 효과를 제대로 누린 업체는 '깐부치킨'이다. APEC 참석을 위해 방한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30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서울 강남에 위치한 깐부치킨 삼성점에서 이른 바 '치맥 회동'을 가졌다. 이후 깐부치킨 일부 매장은 주문이 폭주하면서 임시 휴업을 실시하기도 했다. 글로벌에서도 깐부치킨에 대한 관심은 크게 높아졌다. 특히 깐부치킨 매장이 있는 필리핀과 일본에서는 'Kkanbu' 브랜드가 뉴스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등장했다.



APEC 현장에서는 공식 후원사로 참여한 '교촌치킨'이 주목을 받았다. 교촌은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일까지 경주 시내 국제미디어센터 인근에 마련된 'K-Food Station'에서 푸드트럭을 운영했다. 푸드트럭은 매일 점심과 저녁 시간대를 활용해 총 36차례에 걸쳐 운영됐으며, 총 7200인분의 치킨과 사이드 메뉴 '치룽지(간장·레드)' 900개가 제공됐다. 현장에서는 매회 긴 줄이 이어질 만큼 열기가 뜨거웠던 것으로 전해진다.


국내 최대 프랜차이즈 업체 BBQ는 각국 인사 및 관계자들의 숙소 내에 위치한 'BBQ 빌리지 소노캄 경주점'과 '경주 BBQ 한화리조트점'에서 K-치킨의 매력을 제대로 알렸다. BBQ는 행사 기간 동안 영어, 중국어 등 외국어 응대가 가능한 전문 인력을 투입하고, 매장 운영 시간도 자정까지 연장해 해외 방문객들의 편의를 높였다.



관련업계는 이번 기회에 글로벌 시장을 향한 고삐를 바짝 죈다는 계획이다. 그 어느 때보다 K-치킨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상황인 만큼 글로벌 매장의 매출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다는 판단이다.


국내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 가운데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확장하고 있는 브랜드는 BBQ, 교촌치킨, bhc, 맘스터치 등이다.


가장 속도가 빠른 BBQ는 미국과 캐나다, 일본, 대만, 독일, 베트남, 필리핀, 태국, 호주 등 글로벌 57개국에 진출해 K-치킨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있다. 해외 매장 수는 약 700여 개로, 2030년까지 매장 수 5만 개 달성이 목표다.


교촌치킨은 미국,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아랍에미리트, 대만 등에서 약 100여 개 매장을 운영 중이며, bhc의 경우 해외에 30여 개 매장을 운영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해외 공략을 빠르게 진행 중인 맘스터치는 올해 말까지 일본과 태국, 몽골, 라오스 등지에서 총 60개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특정 브랜드보다는 전반적으로 'K-치킨'에 이미지가 글로벌에서 각인이 된 것 같다"며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할 순 없겠지만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번에 치킨을 직접 맛보신 분들이 매장을 직접 운영하시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 효과를 단언할 순 없겠지만 우리 치킨에 대한 인지도는 확실히 올라갔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희순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