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KME 이사회, ‘백승륜 대표 해임안 상정 요청’…경영 투명성 ‘제고’ 요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04 14:23

6월 이어 두번째 상정…경영 투명성 위기 심화

거래정지 중인 DKME, 쇄신 대신 내부 불안만 고조

사진=DKME

▲사진=DKME

거래정지 중인 DKME(옛 KIB플러그에너지)의 이사회가 백승륜 대표이사 해임안을 지난 6월에 이어 두 번째로 올렸다. 이사회를 통과하지 않은 투자가 올 4월 이뤄진 점이 지정감사 과정에서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는 회사 정관에 위반된 것이다. 아울러 DKME의 투자건이 대여 거래로 전환된 사실도 새롭게 확인됐다.


4일 <에너지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6일 진행된 DKME 이사회에 백승륜 대표이사를 해임하는 안건이 상정된 것으로 파악됐다. 백 대표 해임 안건은 올해 정기주총 이후 두 번째다. 지난 6월 27일에도 해임 안건이 상정됐고, 당시에는 표결 없이 폐회됐다.


본지가 입수한 DKME의 감사위원회 내부 문건에는 “대표이사가 2024년 철수 결의를 한 이후에도 29억원 규모의 자금을 승인 없이 집행했고, 기술사용료 7억 원, 추가비용 3억 원이 별도 승인 없이 지급됐다"고 명시돼 있다.



국내법상 주식회사의 이사회는 회사의 굵직한 의사결정을 하는 필수상설기관이다. DKME 역시 △10억원 초과 재산의 취득 및 처분 △이사와 회사간 거래의 승인 △중요한 계약의 체결 등은 이사회에 부의 후 결의해야 한다.


외부감사인인 삼도회계법인이 중간감사 계획을 보고하는 과정에서, 자회사 케이아이비수소에너지(KIB수소에너지)의 화성수소사업 부지 투자 거래가 주요 감사 항목으로 지정했으며 감사위원회에 보고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DKME를 지정감사 중인 회계법인은 “이는 단순한 회계상 유의사항이 아닌 회사의 내부통제시스템과 경영진의 통제에 대한 중대한 리스크로 판단하고 있다"면서 “투명경영위원회 기준에 따른 자금집행이 이뤄지지 않고 일부 그레이(gray)한 거래가 발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관련 투자건은 투자 거래에서 채권·채무 거래로 전환된 정황도 포착됐다. 2023년 말 DKME는 엣지에너지와 특수목적회사(SPC)를 설립하고 SPC 지분율에 따라 수익을 배분하기로 계약했다. 하지만 올해 금전소비대차 계약을 하며 채권·채무 거래(신용공여 형태)로 전환됐다.


이는 자본이 채권화됐다는 의미다. 투자를 한다는 건 자본이득을 거두겠다는 의미다. 하지만, 기한의 이익으로 국한시키면서 회사가 볼 수 있는 이익은 크게 감소했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주요 의사결정이자 기존의 이사결정을 뒤집는 의사결정이라면 회사의 핵심 인력들이 모인 이사회 승인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백승륜 대표 체제 이후 DKME, 경영권 불안 이어져

지난해 12월 13일 백 대표가 대표이사에 취임한 이후 DKME는 경영진 변화 등 잡음이 이어지고 있다. 공시 기준으로 당시 이사진으로 합류했던 김선기, 이정민, 앨버트 마이클 유슬리 등은 모두 사임했고, 최대주주인 코어텍 그룹 역시 떠나갔다. 다만, 이정민, 앨버트 마이클 유슬리 전 이사는 DKME에 “당사자들은 어떠한 경우에도 이사직을 사임할 의사가 없다"면서 “무단으로 이사 사임을 처리하거나 강제할 경우, 발생할 법적 책임을 모든 관계자에게 경고한다"는 취지의 법적 통지서를 DKME에 보내기도 했다.


최대주주인 DKME INC. 역시 정체가 불분명하다. 글로벌 법인 식별자(LEI) 조회 사이트 'LEI Lookup'에 따르면, 올해 4월 8일 생성됐다.


DKME는 자정 활동을 적극적으로 해야 할 상황이다. 한국거래소는 이미 DKME에 대해 횡령·배임 혐의 발생을 이유로 상장적격성 실질심사를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DKME의 소액주주는 1만3545명에 달한다. 전체 주주 중 99.94%, 소유주식 기준으로는 67.8%에 이른다.


IB 업계 관계자는 또 “자본시장은 구조적으로 수요자와 공급자 사이에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하고, 외견상 그렇지 않아 보이나 실질적으로 이해상충을 야기하는 회사 행위들이 있다"면서 “DKME는 이사회를 정상화 시키면서 거래재개를 위해 혁신 및 쇄신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서 그는 “이사회 내 감사위원회, 더 나아가 감사위원장에게 눈길이 쏠릴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장하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