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대표, 무단 소액결제·정보유출로 “차기 공모에 불참”
이사후보추천위, 4일부터 신임대표 후보군 선임 절차 돌입
공기업 특성상 교체기마다 ‘정치권 개입’ 논란 악순환 오명
전문성 우선, 외부 입김 배제, 투명한 절차 안팎 요구 높아
▲김영섭 KT 대표이사.
KT가 김영섭 대표의 연임 포기 의사에 따라 새 대표 선임 절차에 돌입했다.
지난 2002년 민영화된 이후 20년이 넘도록 사실상 '주인 없는 기업'으로 불려온 KT가 대표 교체기마다 정치권 개입 논란을 빚어온 터라 이번 후임 CEO 선임 과정에서 얼마나 '낙하산 인사' 오명 벗기 의지를 드러낼 지 통신업계의 관심이 모아진다.
5일 업계에 따르면, 김영섭 KT 대표는 전날인 4일 이사회에서 차기 대표이사 공개 모집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지난 9월 불거진 무단 소액결제와 해킹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내년 3월까지인 현 임기만 채우겠다는 의사로 해석된다.
김 대표는 지난달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경영 전반의 총체적 책임을 지는 CEO로서, 이번 KT 사고로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및 소액결제 피해에 대해 합당한 책임을 지는 것이 마땅하다"고 밝힌 바 있다.
2023년 8월 30일 KT 대표이사로 선임된 그는 내년 3월까지 임기를 채우면 31개월 동안 KT를 이끈 셈이 된다.
KT 대표는 통상 매년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선임됐으나, 구현모 전 대표에서 김 대표로 교체되는 과정에서는 '셀프 연임' 논란과 정치권 개입 의혹이 겹치며 2023년 8월 임시 주주총회를 통해서야 신임 CEO가 확정됐다.
2022년 말 구현모 전 대표의 연임 도전을 국민연금이 공개 반대하면서 시작된 당시의 수장 교체 파동은 여권의 공개 비판으로까지 번졌고, 결국 구 전 대표와 윤경림 전 KT 그룹 트랜스포메이션부문장(사장) 모두 후보직에서 물러나 경영 공백 사태를 빚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는 전날 KT 광화문 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권의 KT 개입 의혹을 수사로 규명하고, 공공기업으로서 KT의 정상화를 이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KT 새노조 역시 “차기 CEO 선출 과정에서 통신 전문성과 낙하산 인사 배제, 투명한 절차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정권 개입 논란 외에도 김 대표가 추진해온 KT의 AI 전략 유효성은 새 리더가 점검해야 할 과제로 남았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약 2조3000억원 규모의 계약을 맺고 '퍼블릭 시큐어 클라우드'를 개발해 공공 시장 진출을 선언했지만, 뚜렷한 수주 실적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또 자체 개발 AI 모델 '믿음' 등 핵심 기술 투자에 소홀했다는 지적도 잇따른다.
한편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4일 대표이사 후보군 구성 방안 논의를 시작으로 차기 대표 선임 절차를 공식 개시했다.
KT 추천위는 연내에 대표이사 후보 1인 선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KT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