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를 현대의학의 관점으로 해석 “영웅들의 삶과 죽음 다채롭게 이해"
불후의 명저 삼국지(三國志)를 현대의학이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조명한 '생로병사 삼국지'(에이도스 출판사)가 출간됐다.
유수연·정미현 두 저자가 삼국지 속 인물들을 질병의 프리즘으로 해석한 책이다. 대표적으로 관우의 자기애성 성격장애, 손책의 경계성 성격장애, 조조의 두풍(중풍) 등등 질병이 정치와 전쟁에 미친 영향을 살핀다.
삼국지 마니아이자 의학적 배경지식을 지닌 신경과 의사와 웹소설 작가가 만나 출판된 이 책에서 저자들은 방대한 사서와 기록을 바탕으로 영웅들의 생애와 질병, 죽음을 추적하며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던 삼국지 속 장면들이 현실적으로 가능했는지 의문을 던진다.
어린 시절부터 삼국지 이야기에 열광하고, 3대륙 4개국을 옮겨가며 수십 번 이사를 다니는 와중에도 삼국지 관련 책만은 버리지 못하고 간직해온 저자들은 기존의 삼국지 관련 서적에서는 거의 볼 수 없었던 남다른 시각과 재기발랄하고 신선한 스토리텔링으로 삼국지 속 인물들을 현대 의학의 눈으로 다시 조망한다.
▲서울의료원 신경과 유수연 과장
갑작스러운 요절로 의문을 자아낸 여몽, 마취 없이 살을 째고 뼈를 긁어내면서도 태연하게 바둑을 두었다는 관우, 평소답지 않은 판단력 저하로 전투에서 패배한 원소….
기존 삼국지 관련 서적이 주로 전쟁·전략·경영·처세·인간관계에 집중했다면 이 책은 질병·정신건강·생활습관·식문화·예술취향 같은 인간적 요인을 통해 더 입체적인 영웅상을 그린다.
저자들은 사료의 빈틈에서 실마리를 찾고 소설과 드라마의 과장된 장면을 걷어내며 신성시 됐던 영웅을 하나의 인간으로 복원한다. 또 질병이 정치적 결정에 미친 영향, 스트레스·유전·성격의 상호작용 등 현대 의료적 관점까지 버무려 새로운 삼국지 감상법을 제시한다.
저자인 유수연 서울의료원 신경과 과장(대한 파킨슨병 및 이상운동질환 학회)은 “책은 고전을 변주하는 무한한 길에서 새롭게 찾은 또 하나의 길"이라며 “삼국지 속 인물들의 삶에 의학적 해석이라는 새로운 렌즈를 갖다 대면서 영웅들의 삶과 죽음을 다채롭게 이해하는 길을 연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