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선택 아닌 필수…韓 제조 혁신 위해 ‘피지컬 AI’ 적극 활용해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17 11:00

무협 ‘2026 AX 이니셔티브 콘퍼런스’ 개최

한국무역협회 로고.

▲한국무역협회 로고.

우리나라 제조업이 다음 단계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피지컬 인공지능(AI)' 기술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는 17일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에서 한국정보산업연합회(FKII)와 공동으로 '2026 AX 이니셔티브 콘퍼런스'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행사는 피지컬 AI 기술이 제조업 전반에 확산되고 있는 흐름 속에서 산업·정책·기술 대응 방향을 종합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제는 '피지컬 AI가 가속하는 스마트 제조 혁신의 미래'로 정했다.



피지컬 AI는 센서·카메라·라이다 등으로 물리적 환경을 인지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스로 판단해 실제 세계에서 움직이는 AI를 의미한다.


현장에는 기업·기관 관계자 450여명이 참석했다. 기술 트렌드, 산업 적용 전략, 정책 방향, 실증사례 등을 공유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장영재 KAIST 교수는 국내 제조업이 숙련 인력의 경험 의존에서 벗어나 공장을 소프트웨어 중심의 '지능형 운영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미래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영환 고려대 센터장은 피지컬 AI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AI·로봇·디지털 시뮬레이션이 통합 작동하는 제조 환경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데이터 표준화와 검증 체계 확립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주민식 LG CNS소장은 로봇 제어·설비 예측 등 제조 현장에서 피지컬 AI가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소개했다. 데이터 품질과 현장 인력의 기술 역량 부족 등 확산의 장애요인도 함께 지적했다.


이인호 무협 부회장은 “AI는 이제 현실 세계에서 직접 작동하며 제조업의 구조를 새롭게 바꾸는 '생존 전략'이 됐다"며 “우리나라는 제조 역량과 산업 인프라, 풍부한 제조 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피지컬 AI 전환에서 앞서나갈 수 있는 조건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컨퍼런스에서 제시된 AI 전환 성공 요인을 중소 제조업계에 확산시키기 위해 기업 AI 내재화 컨설팅, AI 선도기업 현장 방문 등 산업 전반의 AI 활용 역량을 높이는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전했다.



여헌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