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3.2GW 클러스터 19조 투자
명량 1단계 인허가로 사업 본궤도
▲퍼시피코에너지코리아와 해상풍력 기자재사 유일이 지난 6월 19일 전라남도, 진도군, 영암군 3개 지자체와 '해상풍력 산업 발전 및 대불산단 활성화를 위한 道-시·군-발전사-기자재사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퍼시피코에너지코리아
미국 신재생에너지 개발사 퍼시피코에너지의 한국 법인인 퍼시피코에너지코리아가 전남 진도 앞바다에서 총 3200메가와트(MW) 규모 해상풍력 발전단지 클러스터를 추진하며 아시아·태평양 최대급 프로젝트를 가시화하고 있다. 첫 단계 사업인 '명량해상풍력'이 최근 발전사업허가를 획득하면서 사업에 속도가 붙는 중이다.
23일 재생에너지업계에 따르면 퍼시피코에너지코리아는 전남 진도군 조도면 맹골도리 해상 일대를 중심으로 △명량해상풍력 420MW △만호해상풍력 990MW △진도바람해상풍력 1800MW 등 3개 단지로 구성된 총해상풍력 클러스터를 개발하고 있다. 단일 지역에서 단일 개발사가 추진하는 프로젝트로는 아태 지역에서 손꼽히는 규모다.
이 가운데 1단계 사업인 명량해상풍력은 지난 10월 당시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발전사업허가를 취득했다. 이로써 사업 부지 경계와 용량이 확정됐고, 환경영향평가·어업보상 등 후속 인허가 절차와 금융조달 준비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회사 측은 “명량해상풍력이 진도 해상풍력 클러스터의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2·3단계 사업인 만호·진도바람 프로젝트도 순차적으로 개발을 가속하겠다"고 밝혔다.
3200MW 클러스터의 투자 규모는 약 19조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전남·진도 일대에 약 4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배후항만·공급망 구축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된다. 전남도와 진도군은 입지·송전·허가 절차 등 행정 지원과 함께 해상풍력 산업 생태계 조성에 힘을 보태고 있다.
퍼시피코에너지코리아는 글로벌 EPC 및 에너지 프로젝트 경험을 가진 인력을 전면에 내세워 국내 사업을 이끌고 있다. 전남풍력산업협회 부회장사로도 참여해 지역 공급망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미국계 개발사라는 점도 눈길을 끈다. 국내 해상풍력 시장은 그간 유럽계 개발사가 주도해 왔는데, 퍼시피코에너지는 미국 기업으로서는 처음으로 국내 해상풍력 분야에 본격 진출한 사례다. 회사는 일본·베트남 등에서 태양광·풍력 프로젝트를 쌓아온 트랙레코드를 바탕으로, 한국을 아시아 해상풍력 허브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퍼시피코에너지코리아는 단순 발전사업에 그치지 않고 산업 생태계 전체와의 동반 성장을 강조하고 있다. 진도 해상풍력 클러스터를 계기로 타워·하부구조물·케이블 등 핵심 부품의 국산화와 배후항만 개발, 전문 인력 양성 등 전주기 공급망을 함께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내 조선·기자재 기업과의 협력과 MOU 체결을 확대하고, 전남지역 대학·연구기관과의 산학 협력도 모색 중이다.
업계에서는 퍼시피코에너지코리아의 행보가 정부의 2030년 해상풍력 보급 목표와 맞물려 국내 해상풍력 시장의 외연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명량해상풍력의 성공적인 인허가·금융구조 설계 사례가 향후 대규모 프로젝트의 기준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퍼시피코에너지코리아는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해상풍력 모델을 제시해 한국이 아시아 해상풍력 공급망의 중심지로 자리잡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

